정세균의 ‘기자단 관행’ 깨기…개방형 브리핑 도입

입력 2021-02-25 11:46 수정 2021-02-25 11:50
정세균 국무총리가 2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25일 모든 부처 기자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 정례 브리핑을 시작한다. 기존 정부 부처별 기자단 중심의 취재 관행을 깨고 정보를 개방하는 일종의 언론 개혁 움직임 중 하나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약 30분간 출입처 중심 기자단 운영 개선방안과 정책 현안에 대해 질의응답할 예정이다. 정 총리는 앞으로도 매주 목요일 오후 브리핑을 통해 출입 부처나 기자단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기자와 질의응답을 한다는 계획이다.

브리핑은 정부 온라인 브리핑 시스템(이브리핑)으로 중계된다. 이에 따라 출입처나 기자단 소속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총리실 페이스북으로도 중계된다. 총리실은 사전에 정부 부처 출입 기자들에게 브리핑 현장 참석이나 온라인 질의 여부를 신청받았다.

정 총리는 지난 18일 언론 개혁 방안을 주제로 한 목요대화에서 출입기자단 관행부터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자 개방형 브리핑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정 총리는 행사 직후 페이스북을 통해 “정보가 편중되면 기득권이 생긴다. 언론의 정부 출입처 취재의 부조리한 관행 혁신이 언론 개혁의 시발점이 되길 바란다”면서 기자단 관행을 비판했다. 지난달 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도 검찰 기자단 해체 국민청원과 관련한 출입 기자단 관행에 대한 질문을 받고 “문제가 있다. 부자연스러운 관행이 있다면 타파하는 게 옳다”고 강조했었다.

정 총리는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도 검찰 기자단 해체 국민청원과 관련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총리실은 브리핑 제도 개선이 정보 개방에 방점이 찍힌 것일 뿐 부처 출입기자단을 폐지하는 단계에 들어선 것은 아니라고 선을 긋고 있다.

다만 총리실은 문화체육관광부가 구체적인 기자단 운영 개선 방안을 중장기적으로 마련하도록 할 계획이다. 문체부는 현재 각 부처 의견을 수렴하는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체부는 조만간 정부, 언론계, 전문가 등이 두루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해 본격 논의에 착수할 것으로 전해졌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