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정책의 콘트롤 타워 역할을 해온 ‘광주복지재단’이 ‘광주복지연구원’으로 공식 명칭을 변경하고 사회복지 연구와 정책개발 강화에 나선다.
광주시 산하 출연기관인 광주복지연구원은 오는 25일 ’광주복지연구원 설립 및 운영조례 일부 개정’ 조례에 따라 공식 업무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명칭 변경은 지난해 6월 출범한 광주사회서비스원과 광주복지재단의 기능·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복지시설 운영을 실무적으로 도맡게 된 광주사회서비스원은 향후 광주형 복지의 혁신을 추구하고 복지재단은 고유 목적사업인 복지정책 연구기능에 치중하게 된다.
광주복지재단을 모태로 한 광주복지연구원은 내부 구성원뿐만 아니라 복지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노민정 협의회 등 지역복지계와 논의해 조직혁신을 추진해왔다.
그 결과 광주복지연구원 사무처는 복지정책 연구, 복지 빅데이터·복지정책 지도 등 두뇌집단으로서 역할을 강화하기로 했다.
빛고을노인건강타운과 효령노인복지타운은 사회공헌사업·일자리 중심형의 노인복지 선도기관으로 운영한다.
장애인복지관, 보호작업장, 지역사회서비시지원단 등 3개 시설은 사회서비스원으로 이관했다.
광주복지연구원은 혁신의 결과가 단순 명칭 변경 등 가시적 효과가 아닌 지속해서 이어지도록 혁신담당관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노사협의체를 중심으로 매월 혁신과제를 선정해 운영하는 시스템도 마련했다.
오는 3월에는 광주복지연구원 사무처를 제2청사(구 환경복지연구원)로 이전해 복지 분야 두뇌집단 역할에 집중할 예정이다. 새롭게 출범하는 연구원을 이끌 신임 원장 등 이사회 임원진도 공개 모집 중이다.
광주복지연구원 김백수 사무처장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복지정책 전략기관으로서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책임기관으로써 사명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