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동안 침체에 빠졌던 롯데마트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모든 직급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시행한다. 중국의 사드 보복, 오프라인 유통의 부진, 일본 불매운동, 코로나19로 비대면 경제 강화 등이 잇따라 터지면서 ‘유통 공룡’ 롯데에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고 있다.
2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정직원 4300여명 가운데 동일직급마다 10년차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신청받기로 했다. 롯데마트 관계자는 “실적 악화로 인한 불가피한 결정”이라며 “희망퇴직은 100% 신청자의 자발적인 의사로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롯데마트는 희망퇴직자에게 근속연수별로 최대 기본급 27개월분까지 퇴직위로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대학생 자녀가 있는 희망퇴직자에게는 자녀 한 명 당 500만원의 학자금을 주기로 했다. 마트 계산원 등 무기계약직은 희망퇴직 대상자에서 제외됐다. 롯데마트의 전직급 대상 희망퇴직은 1998년 롯데마트 창사 이래 처음이다.
지난해 하반기에 롯데마트는 통상적인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50~70명이 희망퇴직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롯데마트를 포함해 롯데쇼핑 116개 오프라인 점포가 문을 닫으면서 2000여명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 구로점 등 롯데마트 12곳이 실적 악화로 문을 닫았고, 롯데마트 헬스앤드뷰티(H&B) 사업부문으로 통합된 롭스는 27곳이 폐점됐다. 롯데슈퍼 74곳과 영플라자 청주점까지 포함해 116개 매장이 사라졌다.
롯데마트는 최근 3년 동안 누적 영업적자가 660억원에 이르면서 구조조정 압박에 시달려 왔다. 올해도 부진 점포 폐점 조치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유통업계에서는 당분간 롯데가 구조조정 국면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롯데그룹은 지난해 오프라인 점포 700개 중 부진 점포 200여개를 정리하겠다고 밝혔었다.
롯데그룹의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반발하는 움직임도 나왔다. 민주노총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 산하 롯데마트지부, 롯데면세점노조, 롯데백화점지회, 롯데하이마트지회는 최근 ‘롯데그룹 민주노조 협의회’를 출범하고 구조조정에 대응하기로 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구조조정을 포함한 체질 개선은 현재 위기에 놓인 오프라인 유통 환경에서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회사 안팎의 불안과 소비자 반발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함께 신경 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