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친환경차 785만대를 보급하고, 수소차의 가격 인하를 추진키로 했다. 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2021∼2025)’을 확정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30년 자동차 온실가스 24% 감축을 목표로 2025년까지 친환경차 283만대, 2030년까지 785만대 보급을 추진한다. 지난해말 기준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차량이 2437만대인 점을 감안하면 3대 중 1대를 친환경차로 전환시키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공공기관이 친환경차를 100% 의무구매하도록 하고, 렌터카·대기업 등 민간에는 친환경차 구매목표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충전 인프라도 확대한다. 2025년 전기차 보급 대수의 50% 이상 수준인 50만기 이상으로 충전기를 늘리고, 20분 충전으로 300㎞ 주행 가능한 초고속 충전기 보급을 본격화한다.
수소차의 경우 전국 어디서든 30분 이내에 충전소에 도달할 수 있게 2025년까지 450기를 구축한다. 아울러 친환경차의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용 플랫폼 구축, 부품소재 국산화 등으로 2025년까지 차량 가격을 1000만원 이상 내린다. 특히 배터리 리스(대여) 사업을 도입해 초기 구매가격을 절반 수준으로 낮출 방침이다.
친환경차 수출은 지난해 28만대에서 2025년까지 83만대로 확대한다. 수출 비중도 14.6%에서 34.6%로 끌어올린다. 내연기관차 이상의 주행거리(2025년 600㎞ 이상)를 확보하도록 전고체전지를 2030년까지 상용화하고, 2025년까지 수소 상용차를 전 차급 출시하는 등 기술 혁신에 나선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