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2일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내년 초에는 국산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 장관은 이날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백신은 임상시험을 하는 과정에서 많은 변수가 있기 때문에 장담하기는 어렵다”면서도 “특별한 변수가 없다는 전제하에 제약사들이 올해 말 임상 3상을 진행하면 내년 초에는 국산 백신이 나올 수 있겠다는 로드맵이 있다”고 밝혔다.
최 장관은 “백신의 효과가 얼마나 지속할지 모르고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도 많아 해외 개발 백신에만 의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에 대비해 국내 백신·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갖추는 게 절실하다. 개발을 끝까지 지원하는 게 정부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침(타액)으로 3분 이내 코로나19 진단이 가능한 진단키드의 경우 예정대로 다음 달에 개발이 완료될 것으로 최 장관은 내다봤다. 최 장관은 “정확하고, 편하게 쓸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신속하게 결과를 알 수 있는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있다”며 “3월까지는 (개발이)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의 속도가 늦다는 지적에 대해 최 장관은 “코로나19 감염병 대응관련 예산이 많이 늘기도 했지만 선진국들에 비해 절대적으로는 적은 편이며 장기적 투자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앞으로도 이 같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백신 개발 플랫폼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도 “현재 백신 허가를 받은 나라는 5개국 정도인데 제대로 인정받고 있는 것은 미국과 영국 밖에 없다”면서 “감염병 발생 1년 만에 백신 개발을 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제약산업 선진국인 독일, 스위스, 프랑스, 일본 등만 봐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일관성있는 우주 탐사·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우주청을 신설하자는 의견에 대해 최 장관은 “우주청 등 독립적 기구가 있다면 조금 더 힘을 받아서 진행할 수는 있겠지만 지금 당장 논의하기에는 시기적으로 맞지 않는 것 같다”며 “현재 우주 개발이 잘 진행되고 있기에 조직을 개편하는 건 이르다고 본다”고 선을 그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