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0% 백신 접종 땐 지금 유행 2배 커져도 대응”

입력 2021-02-22 16:23 수정 2021-02-22 16:24
아스트라제네카(AZ)사 백신 수송 모의훈련이 실시된 지난 19일 오후 대구 북구보건소 의료진이 전달받은 백신을 냉장 보관실에 넣고 있다. 뉴시스

전 국민의 70%가 코로나19 백신을 맞을 경우 지금보다 유행 규모가 2배 이상 커져도 대응이 가능하다는 방역당국의 분석이 나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본부장은 22일 오후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에서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열고 이 같이 말했다.

정 본부장은 “(전 국민) 70%를 접종할 경우 항체 형성률이 80%라고 가정하면 최종 항체 양성률은 56% 정도가 된다”며 “재생산지수 값 2 이상은 대응할 수 있는 면역을 확보하게 된다”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이어 “백신별로 항체와 중화항체 양성률, 면역 효과들이 조금씩 다른데 접종자의 비율, 연령 이런 부분들을 고려해서 중화항체 양성률을 추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환자 1명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많은 타인에게 바이러스를 옮기는지 보여주는 지수다. 1 미만이면 ‘유행 억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의미한다. 2월 3주차(14일~20일) 감염 재생산지수는 1.12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감염재생산지수가 2일 때엔 코로나19 항체 양성률이 50%가 돼야 통제 가능하다. 감염재생산지수가 3으로 올라가면 통제를 위해 필요한 항체 양성률은 67%로 올라간다. 전 국민 70% 접종에 성공해 항체 양성률 56%를 확보하게 되면, 감염재생산지수 2가 됐을 때도 유행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의미다.

다만 정 본부장은 “최근 들어 변이 바이러스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서 백신의 효능에 대한 수치 변동이 가능하다”며 “18세 이상의 청소년들에 대한 접종 여부에 대한 것도 임상시험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을 감안해서 접종률과 집단면역 달성 수치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검토와 모니터링, 조정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목표로 세운 백신 접종률을 달성할 수 있는지가 가장 큰 요인”이라며 “백신을 제때 확보해 공급받을 수 있는지, 또 (향후) 변이 바이러스가 어느 정도 발생하는지 등이 중요 변수고 위험 요인”이라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집단면역 형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까지 항체 양성률이 있어야 (면역 형성이)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목표치, 재생산지수 등이 고려돼야 기준 자체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라며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계속 목표치에 대한 것은 조정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오는 26일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7일부터 화이자 백신의 접종을 앞두고 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