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울산의료원 설립 당위성에 올인

입력 2021-02-22 11:53
울산시는 울산의료원 건립 당위성 용역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울산의료원 설립 타당성 조사 용역’은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면제받기 위한 중요한 절차다.

시는 코로나가 안정권에 진입하기 전 올해말이 예타조사 면제의 골든 타임이라고 판단하고 모든 역량을 결집한다 방침이다.

울산의료원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 기간은 8개월이다. 용역 내용은 울산의료원 설립 기초현황 분석, 울산의료원 입지 및 규모 분석, 예상 진료권 현황분석, 울산의료원 설립·운영 방안, 울산의료원 설립 타당성 검토 및 결과 도출 등이다.

울산시는 기획재정부 등 중앙 부처에 올해 11월 예타조사 면제를 요청할 예정이다. 예타조사 면제 여부는 기획재정부의 재정사업 심의위원회가 결정한다.

시는 지난 18일 용역 제안서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평가할 평가위원회 예비평가위원 공개모집도 시작했다.

모집인원은 총 21명으로 보건과 보건의료, 공공의료,예방의학 등의 분야 전문가들이 대상이다.

울산시는 11개의 건립 후보지 가운데 1곳을 용역 중에라도 우선 선정할 예정이다.

앞서 울산시는 지난 1일 5개 구·군 단체장과 함께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합동 브리핑을 갖고 ‘울산의료원 설립 사업’의 본격 추진과 함께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양지요양병원 집단감염 사태를 겪으면서 공공의료기관의 중요성을 크게 깨닫게 됐다.

울산의료원은 국비를 포함해 사업비 1500~2억원이 투입되며, 300~500병상, 20여 개 진료과 규모로, 오는 2025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의료원은 시립으로 중앙정부는 건축비의 50%만 지원해 준다. 나머지 건축비 50%와 부지, 운영비 등은 모두 울산시가 부담한다.

울산은 다른 도시와 달리 아직 변변한 지역 공공의료기관 조차 없는 실정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울산지역 공공의료 인프라는 시립노인요양병원 1곳이다. 현재 울산은 2024년 개원을 목표로 300~500병상 규모의 산재전문공공병원 건립을 추진 중이다.

시는 “울산은 전국 최하위 수준의 공공의료 비중으로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대유행 사태에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며 “이에 의료원 설립에 따른 기준마련 및 타당성 확보, 보건복지부 사업계획 승인, 예타 대상사업 선정 및 통과 등의 절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이번 용역을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