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연속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한 사업장이 전국 38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사업장의 사망자만 1269명에 이르러 반복되고 있는 산재 사망사고 근절을 위해 사업장의 안전보건 책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1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고창)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5년 연속 산재 사망자 발생 사업장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지난해 9월까지 매년 업무상 사고와 업무상 질병을 포함한 산재 사망자(산재 승인연도 기준) 발생 사업장은 38개소로 나타났다. 이들 해당 사업장에서의 사망자는 1269명으로 조사됐다.
22일 개최 예정인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산재 관련 청문회 9개 증인 기업 가운데에서는 현대중공업이 유일하게 포함됐다. 현대중공업에서는 2016년 5명, 2017년 2명, 2018년 3명, 2019년 3명, 2020년 9월 3명 등 모두 16명(업무상 사고 7명, 업무상 질병 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또한 산재 청문회 대상인 ㈜포스코는 해당 기간 4개 연도에서 산재 사망자(6명)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38개 사업장은 사망자 수 1위∼5위를 포함해 3분의 2 이상이 광산업체였다.
이와 함께 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 9월까지 전국 산재 사고 사망자는 모두 2486명으로 이 가운데 62.2%(1547명)가 근속 기간이 6개월 미만인 노동자로 나타났다. 또 이 기간 산재 사망자의 77.6%(1927명)는 50인 미만의 사업장에서 발생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에서 발생한 사망자가 1262명(50.8%)으로 절반을 넘었고 제조업(567명)이 뒤를 이었다.
윤준병 의원은 “같은 사업장에서 반복되는 산재 사망을 근절하기 위해 핵심 위험 요인들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안전보건 책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 의원은 “전체 산재사고 사망자 10명 중 6명이 6개월 미만의 노동자이고 50인 미만 사업장의 사망이 78%에 이르렀다”며 “단기근속 노동자에 대한 사고 예방교육과 소규모 사업장에서의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