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은 18일 KBS와 관련해 “재원구조상 (공영방송) 재원 확대 필요성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이 수신료 인상 입장을 묻자 “수신료인지 어떤 방법인지는 모르겠으나”라며 이같이 말했다.
허 의원이 재차 “수신료 인상에 동의하느냐”고 묻자, 한 위원장은 “필요성은 인정한다”고 답했다.
한 위원장은 다만 “투명성 제고 등 전제 조건이 있어야 한다”며 “이를 토대로 국민적 공감을 얻어야 한다. 제도적으로도 국민적 공감이라는 것들을 통해 의결 절차를 거치도록 돼 있다”고 했다.
한 위원장은 KBS 수신료를 전기요금에 자동 합산해 내는 것과 관련해선 “수신료 통합 징수는 많은 고민을 통해 만들어진 제도”라며 “분리할 경우 징수비용 등 여러 문제로 오히려 국민 부담이 늘어나는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야당 의원들은 수신료 인상 추진에 비판을 쏟아냈다. 박성중 과방위 국민의힘 간사는 ‘억대 연봉’ 논란을 거론하며 “4800명 인원 중 2200명, 46%로 이보다 많아 사실 60%라는 설도 있고 그중 3분의 2가 보직이 하나도 없다”며 “인건비 비중을 보면 KBS는 36%, MBC는 21%, SBS는 15%다. 36%면 개인회사는 벌써 망했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허은아 의원도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76%가 수신료 인상에 반대하고 (뉴스) 댓글은 ‘KBS 아예 폐지하라, 안 본다’ 수신료 환불 의견도 개진된다”며 “KBS 이사회는 수신료 인상안을 상정해 논란이 되고, 한 직원은 ‘능력이 되면 입사하라’고 한다. 국민에 대한 눈치가 없는 것”이라고 가세했다.
박대출 의원은 “보도 조작 아나운서, (열린음악회의) 송 투더 문, 평양지국 개설, 1억 연봉이 팩트”라며 “국민이 이런 KBS에 대해 수신료 인상을 받아들이겠는가. 방통위가 국민 눈높이에서 잘 판단하라”고 비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