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광석 가격 상승세를 타고 올해 본격적인 ‘V자 반등’을 기대하던 국내 철강업계가 예상치 못한 악재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사망사고가 잇따라 발생한 포스코와 동국제강은 수장이 나서서 공개 사과를 했지만 논란이 여전하다. 현대제철은 고철 구매가격을 담합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는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최정우 포스코 회장은 오는 22일로 예정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산업재해 청문회에 허리 통증을 이유로 출석하지 않겠다고 전날 통보했다. 최 회장은 불출석 사유서에서 “평소 허리 지병이 있는데 병원에서 2주간 안정을 권유했다”며 “산재 관련 업무 전반을 담당하는 장인화 대표이사 사장이 내용을 더 잘 알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환노위는 산재가 수차례 발생한 포스코 등 기업의 대표이사 9명을 청문회 증인으로 소환했다.
일각에선 최 회장이 잇따른 산재로 공격받을 위기에 처하자 자리를 회피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최 회장이 취임한 2018년 7월 이후 산업재해로 숨진 근로자는 9명이다. 올해 초 최 회장이 안전관리에 3년간 1조원을 투입하는 내용의 특별대책을 내놨지만 지난 8일에도 하청업체 근로자가 안전사고로 숨져 논란이 됐다. 최 회장은 지난 16일 현장을 찾고 유가족과 국민에게 사과했다.
올해 들어 사망사고가 2건이나 발생한 동국제강도 곤혹스럽긴 마찬가지다. 이날 김연극 동국제강 사장은 부산공장을 점검하고 “절대로 발생하지 말아야 할 사고가 발생한 데 참담하고 죄송하다. 안전 대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6일 부산공장 원자재 제품창고에서 일하던 50대 직원이 철강 코일 사이에 끼어 사고를 당했고 지난달에는 식자재 납품업자가 포항공장에서 화물 승강기에 끼어 숨졌다.
현대제철과 야마토코리아홀딩스, 한국철강, 대한제강 등 철강사 4곳은 고철 구매가격을 8년 동안 담합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는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달 담합을 주도한 혐의로 현대제철에 과징금 909억원을 부과한 데 이어 시장 영향력, 조사 협조 여부 등을 고려해 이들 네 곳을 검찰에 고발하겠다고 최근 밝혔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