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병원과 제조공장 등 대규모 사업장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잦아지면서 신규 확진자 수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52곳의 대규모 사업장에서 13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했다.
18일 중앙방역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올해 1월 이후 전국에서 발생한 대규모 사업장 관련 집단감염은 총 52건이다. 이와 관련된 확진자는 이날 0시 기준으로 1362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52건 중 수도권에서만 33건이 발생했다. 전체 감염 건수의 63%를 차지했다. 확진자는 각 사례당 평균 26.1명 나타났다. 발생 기간은 평균 10.8일이다.
대표적으로는 최근 수도권의 경우 서울 용산구 순천향대서울병원에서 누적 확진자가 149명 발생했다. 경기 남양주시 플라스틱공장에서도 집단감염(122명)이 발생했고, 충남 아산시 귀뚜라미보일러 공장(135명)에서도 감염자가 무더기로 나왔다.
방역 당국은 확진자 대부분이 같은 직장에 종사하는 동료 사이에서의 전파로 감염된 것으로 확인했다. 집단감염이 발생한 사업장의 주요 위험 요인을 조사한 결과 작업환경 및 공용공간에서 감염 위험이 큰 3밀(밀집·밀접·밀폐) 환경이 조성돼 있었다. 작업장 내 소음으로 인해 큰소리로 대화를 하는 과정에서 비말(침방울)이 자주 생기고 마스크 착용이 미흡해 동료끼리 전파가 이뤄진 것이다.
또 작업장 중에는 외국인 직원의 비중이 높은 곳들이 여럿 있었다. 해당 직원들은 공동 기숙생활을 했고, 이에 따라 감염 노출 기회가 증가한 것도 집단감염의 원인으로 꼽혔다. 권준욱 중대본 제2부본부장은 “다수가 한곳에 모여 근무·기숙 생활하는 사업장일수록 기본 방역수칙 준수와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며 “사업주는 종사자들의 방역수칙을 관리·감독하고, 환기나 소독, 공용공간의 이용 시간 및 인원을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부본부장은 이어 “외국인 근로자들도 방역 수칙 정보를 제대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고, 기숙사 공동생활을 하는 경우에는 관리 점검 체계를 마련해달라”며 “집단 발생이 없는 지역에서도 감염 위험이 있는 시설이나 환경에 대한 감시 강화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