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카의 왕위 계승식이었다.”
오사카 나오미(3위·일본)이 세레나 윌리엄스(11위·미국)와의 호주오픈 테니스대회(총상금 8000만 호주달러·약 686억원) 준결승에서 압승을 거두고 결승에 진출했다. ‘사실상의 결승전’으로 평가 받던 이날 경기에서 오사카가 윌리엄스의 강점인 힘에서도 밀리지 않고 승리를 챙겨, 춘추전국시대였던 여자 테니스의 왕좌를 오랜 ‘여왕’이었던 윌리엄스로부터 계승한 경기였단 평가가 나온다.
오사카는 18일 호주 멜버른의 멜버른파크에서 열린 대회 11일째 여자 단식 준결승에서 윌리엄스에게 2대 0(6-3 6-4) 완승을 거뒀다.
오사카가 ‘지금은 나의 시대’란 걸 만 천하에 공표하는 듯한 승리였다. 오사카는 최근 5번의 메이저대회에서 3회나 우승(2019 호주오픈, 2018·2020 US오픈)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에서도 오사카는 가르비녜 무구루사(14위·스페인)와의 16강전에서만 한 세트를 허용했을 뿐 그 외 모든 경기를 무실세트로 승리하며 쾌조의 컨디션을 자랑했다. 이날 경기까지 메이저대회 13연승 째를 거둔 오사카는 이제 이 대회 2년 만의 우승과 통산 4번째 메이저대회 단식 우승까지 단 1승만을 남겨뒀다.
윌리엄스는 8강에서 시모나 할레프(2위·루마니아)를 누르고 40세의 나이에 자신의 40번째 메이저대회 4강 진출 기록을 썼지만, 이전까지 상대전적 1승 2패로 밀렸던 오사카의 벽을 넘지 못했다. 마거릿 코트(은퇴·호주)가 보유한 메이저대회 남녀단식 최다 우승(24회) 타이기록 달성과 2017년 출산 뒤 메이저대회 첫 우승도 아쉽게 다음 기회로 미루게 됐다.
경기 전 “코트 반대편에서 윌리엄스를 마주한다는 건 정말 겁나는 일”이라 밝혔던 오사카는 1세트 자신의 첫 서브게임부터 흔들렸다. 실책을 3개나 범하고 게임을 내주며 긴장한 모습이었다. 하지만 이내 안정감을 찾고 그라운드 스트로크 대결에서 완벽하게 윌리엄스를 몰아붙이며 0-2 상황에서 내리 5게임을 따낸 끝에 결국 첫 세트를 가져왔다.
오사카는 2세트에서 윌리엄스의 첫 서브게임을 브레이크하며 1세트에 찾은 승기를 이어갔다. 하지만 노련한 윌리엄스도 호락호락하게 포기하진 않았다. 게임 스코어 2-0에서 서브게임을 맞은 윌리엄스는 최고 시속 197㎞까지 나온 강서브를 앞세워 분위기를 전환했다. 오사카가 받아낼 수 없는 강도로 서브를 몰아붙여 관중들의 환호를 이끌어냈다.
오사카의 문제는 더블폴트였다. 오사카는 2세트 4-3 상황에서 맞은 자신의 서브게임에서 부담감을 느낀 모습으로 더블폴트를 3개나 연발해 윌리엄스에 브레이크를 혀용했다. 하지만 그라운드 스트로크 대결에서의 안정감과 깊은 각도의 코너워크를 앞세워 곧바로 윌리엄스의 서브 게임을 브레이크하며 냉정을 되찾았다. 5-4에서 맞은 마지막 서브게임에선 첫 서브 확률을 높이며 포인트를 허용하지 않고 게임을 따내 결국 승리의 주인공이 됐다.
오사카는 경기 뒤 “윌리엄스의 플레이를 볼 때 난 어린 아이에 불과했다. 그래서 그녀와 경기를 갖는 건 항상 영광스러운 일”이라며 “단지 안 좋게 대회를 마치기 싫어 최선을 다하고 싶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반대편 대진에선 제니퍼 브레이디(24위·미국)가 카롤리나 무호바(27위·체코)를 2대 1(6-4 3-6 6-4)로 누르고 접전 끝에 결승에 진출했다. 브레이디는 여자프로테니스(WTA) 투어 1회 우승 경력 밖에 없고, 지난해 US오픈 준결승 진출이 메이저대회 최고 성적이다. 공교롭게도 당시 준결승 상대가 오사카였다. 오사카는 브레이디를 잡고 결승에 올라 자신의 메이저대회 3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두 선수의 결승전은 20일 열린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