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와 간토 대지진의 조선인 학살을 왜곡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가 재일교포의 차별까지 정당화한 것으로 드러났다.
램지어 교수의 논문 ‘사회 자본과 기회주의적 리더십의 문제점: 재일 한국인의 사례’는 일본인이 재일교포를 차별하는 것은 재일교포 탓이라는 주장을 담고 있다고 18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발표된 이 논문에서 램지어 교수는 일제시대에 일본으로 건너간 조선인들을 읽지도 못하고, 덧셈과 뺄셈도 못하는 하등 노동자로 묘사했다. 또한 “몇 년간 돈을 벌고 고향인 조선으로 돌아가겠다는 생각에 일본 사회에 동화하겠다는 노력도 하지 않고 일본인들과 갈등을 빚었다”고 주장했다.
램지어 교수는 “일본인 집주인들은 조선인 세입자를 피했다”면서 조선인의 비위생적인 생활과 과음, 싸움, 소음 등을 이유로 들었다.
그는 앞서 발표한 간토 대지진 관련 논문 중 1920년대 조선인의 범죄율이 높다는 자의적인 통계를 반복해 인용한 뒤 한국인 전체를 범죄 집단화하는 주장을 펴기도 했다.
그는 “2015년 당시 일본 국적자 10만명당 범죄자 수는 63.6명이지만, 재일 한국인은 10만명당 608명”이라는 통계를 소개했다. 이는 일본의 극우 인사 스가누마 미츠히로의 ‘야쿠자와 기생이 만든 대한민국’이라는 책에서 인용됐는데, 이 책은 학술서적이 아닌 스가누마의 인터뷰를 지면에 옮긴 상업적 기획물이다.
램지어 교수는 또 재일교포 사회 전체에 대한 색깔론을 제기했다. 1948년 제주 4·3 당시 공산주의 세력이 정부의 탄압을 피해 대거 일본으로 밀항했고, 재일교포 사회의 주류가 됐다는 것이다.
공산주의자들이 리더가 되면서 정치적 의제를 재일교포 사회의 전면에 내세웠고, 이 같은 모습이 일본인들의 적대감을 불러일으켰다는 게 램지어 교수의 주장이다. 그는 “일본에 사는 한국인들은 스스로 더 큰 의심과 적대감, 차별을 불러일으켰다”고 주장했다.
극좌 세력이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재일교포 사회를 좌지우지했고, 이 때문에 일본 사회와의 민족적 갈등이 극단으로 치달아 오히려 재일교포에 대한 차별이 발생했다는 논리다.
능력 있는 재일교포는 국적을 일본으로 바꾼다는 주장도 폈다. 램지어 교수는 “교육을 받고 경제력이 있는 한국인들은 재일교포 사회를 떠나 일본 사회에 동화하는 것이 간단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사회적으로 가장 취약한 계층만 한국 국적을 유지하게 됐다”고 했다.
램지어 교수는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의 역사는 ‘제 기능을 못하는 집단의 가장 큰 적은 내부의 지도자’라는 경구를 떠올리게 한다”는 결론으로 논문을 맺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