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내항 1,8부두 및 주변지역 공공재생을 위한 시민행동이 17일 성명을 통해 시민들의 의견수렴이 부족한 일방적인 사업추진에 대해 제동을 걸고 나섰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인천시민들의 숙원사업이자 해양도시 인천의 미래를 결정할 인천 내항 1·8부두 재개발사업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타당성 검토를 통과해 사업 추진이 확정됐다는 것은 반갑지만 일방적인 추진방식은 문제가 있다”고 따졌다.
이는 인천항만공사가 지난해 9월 해양수산부에 제출한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제안서를 KMI가 타당하다고 통과시킨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인천 내항1,8부두 재개발사업은 해양수산부가 이르면 이달 말 제3자 공모를 하고 올해 하반기 우선협상대상자를 지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이 단체는 “언론보도를 통해 결정사항을 접해야 하는 인천시민들은 착잡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고 전제, “내항재개발을 염원하며 2007년부터 7만여명의 주민청원을 국회에 제출해 내항재개발의 물꼬를 튼 인천내항살리기시민연합을 비롯한 중구주민들과 내항의 공공적 재생을 염원하며 시민행동을 만든 인천의 시민사회는 인천항만공사가 해양수산부에 제출한 사업제안서를 전혀 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질타했다.
이들은 “인천시민들이 인천항만공사가 제출한 내항재개발 사업제안서에 대한 타당성 검토는커녕 의견을 개진할 기회조차 얻지 못한 채 속수무책 지켜봐야 하는 것은 말도 안된다”며 “인천 내항재개발사업이 부산 북항항만재개발 1단계사업의 재판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점점 커져가는 상황을 좌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이들이 문제를 삼는 것은 친수공간이 되어야 할 부두 앞에 초고층 빌딩이 들어선 부산북항 1단계사업과 같은 고밀도 개발이다.
이들은 “1974년 국가무역항으로 내항을 조성한 이래 국가경제의 발전을 위해 내항주변 주민들과 인천시민들은 바다를 잃고 온갖 환경 피해를 받고 살아 왔다”면서 “40여 년간의 고통 끝에 중구주민들이 노후항만으로 경쟁력을 잃어가는 내항재개발을 주장해 지구지정이 되만큼 국가가 공정성과 공공성을 앞세워 내항의 시민적 재생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인천 내항재개발사업도 인천항만공사와 민간업체의 이익보존을 위한 사업계획서가 아닌지 우리 인천시민들도 당연히 알 필요와 권리가 있다”며 “해양수산부 출신의 박남춘 시장은 이 과정에서 무엇을 했는지 묻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인천지역 국회의원들은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기에 인천시민들을 무시하고 해양수산부 인천항만공사의 기관이기주의에 매몰된 인천 내항재개발 사업을 멀뚱멀뚱 지켜보고만 있느냐”면서 “지금이라도 인천항만공사가 비공개로 제안한 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계획서를 공개하고,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인천 내항 1, 8부두 주변지역 공공재생 제대로 될까
입력 2021-02-17 1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