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든 지역이든 공동체를 위한 특별한 희생을 치른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특별한 보상이 있어야 공정한 것입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경기도 7개 공공기관의 경기 북·동부지역 이전 이유를 설명하면서 특별한 희생을 감내한 경기 북·동부 주민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했다.
이 지사는 “경기남부지역은 인구, 사업체 수, 도로율과 사회서비스시설 등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고, 자생적인 경제산업 기반이 구축돼 있지만, 접경지역과 자연보전권역 등을 포함한 경기 동북부 지역은 그렇지 못하다”면서 “대한민국의 주요 과제인 국토 균형 발전처럼 경기도 내에서도 지역 간 균형발전이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지사는 “경기도는 그동안 균형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두 차례에 걸친 공공기관 이전 결정 역시 그런 노력의 일환”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2019년 12월 ‘경기도 균형발전과 문화·관광·교육 활성화를 위한 도 공공기관 경기북부이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025년까지 경기관광공사와 경기문화재단,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등 3곳의 공공기관을 경기북부인 고양으로 이전하기로 했다.
또한 지난해 9월에는 시·군 공모를 통해 경기교통공사와 경기도일자리재단,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의 주사무소를 각각 양주시와 동두천시, 양평군, 김포시, 여주시 이전을 발표했다.
이 지사는 “보다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규모가 더 큰 공공기관의 이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추가로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하기로 했다”면서 “도민의 요구와 기관 특성, 운영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한 결과”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표한 이전 대상 공공기관은 경기연구원, 경기도여성가족재단, 경기복지재단, 경기농수산진흥원, 경기신용보증재단,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주택도시공사 등 총 7개 기관이다.
이 같은 7개 기관의 근무자수는 총 1100여명으로, 지난 1·2차 이전 기관의 근무자수를 전부 합친 규모와 비슷하다. 이전 대상지역은 경기 북·동부의 접경지역 그리고 자연보전권역 가운데 중복 지역을 제외한 17개 시·군을 대상으로 공모를 통해 선정할 예정이다.
도는 이번 달부터 공모계획을 수립해 기관별 공모를 추진하고 4월에 심사를 거쳐서 5월쯤에 이전 선정 대상 시·군을 발표할 계획이다.
이 지사는 “공정하고 투명하게 심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외부전문가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균형발전과 사업 연관성, 접근성과 도정협력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전지역을 선정할 것”이라며 “재정 규모 차이에 따른 불이익이 없도록 세심하게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지사는 “국가와 국민을 위해 오랫동안 특별한 희생을 감내하고 계신 경기 북·동부 지역 주민 여러분께 다시 한 번 깊이 감사드린다”면서 “전체를 위해 특정 지역이 일방적으로 희생되는 일이 없도록 앞으로도 세심하게 살피고 각별히 배려하겠다”고 덧붙였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