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화재참사를 기억하기 위해 조성된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이하 테마파크)에 당시 사고 교훈과 의미를 담을 수 있는 ‘2·18기념공원’ 명칭을 추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18안전문화재단은 17일 ‘대구시 시민안전테마파크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에 ‘2·18기념공원’ 명칭 병기 근거를 포함하는 내용의 조례개정청원서를 대구시의회에 제출했다. 지방자치법 청원 관련 규정에 따라 김동식 대구시의원이 청원소개 의견서를 작성했다. 대구시의회는 90일 이내에 이 사안을 처리해야 한다.
테마파크는 2003년 2월 18일에 발생한 대구지하철 화재참사 후 시민들의 안전의식을 높일 목적으로 조성됐다. 2008년 12월 29일 개관해 지금까지 지역의 안전 체험 학습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김태일 2·18안전문화재단 이사장은 “국시비 200억원, 화재참사 국민성금 50억원이 투입된 시설이지만 화재참사와 관련한 명칭과 흔적은 찾아볼 수 없다”며 “유족들의 바람대로 화재참사의 교훈을 기억할 수 있도록 시설을 2·18기념공원으로 부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성사 여부는 불투명하다. 앞서 명칭 변경 움직임이 있었지만 팔공산 인근 상인 등의 반대로 무산된 적이 있기 때문이다. 화재참사 이후 유족들은 희생자를 추모할 수 있는 추모공원 설립을 대구시에 요구했지만 입지 선정이 어려웠다. 예상 부지로 거론되는 지역에서 반발이 심했기 때문이다. 2005년 대구시와 유족들이 팔공산집단시설지구 내 시유지에 테마파크를 건립하고 안전 상징 조형물을 설치하기로 합의했고 인근 상인들도 추모관 제외 조건으로 이를 수용했다.
하지만 이후에도 테마파크 명칭 변경 요구가 계속됐고 인근 상인들과 마찰을 빚었다. 여기에 2009년 테마파크 부지에 희생자 유골을 일부 매장한 것이 드러나면서 대구시, 유족, 상인 간 법정 다툼까지 벌어졌다. 2017년에도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 명칭을 추모공원으로 바꾸는 안이 추진됐지만 인근 상인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한편 2·18안전문화재단은 올해 대구지하철 화재참사 18주기를 맞아 오는 20일까지 ‘2·18대구시민안전주간’ 행사를 개최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