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강원도 고성군 민간인통제선 부근에서 군 당국에 검거된 북한 남성은 잠수복과 오리발을 착용하고 해상을 통해 남하한 것으로 밝혀졌다. 남성의 모습은 군 감시장비에 수차례 포착됐지만 군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경계 감시망이 다시 한번 뚫린 셈이다. 해안 경계·감시망이 뚫린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사단장 등 해당 부대에 대한 대대적인 문책이 예상된다.
합동참모본부는 17일 오전 “군이 어제 동해 민통선 북방에서 신병을 확보한 인원(귀순 추정)은 잠수복과 오리발을 착용하고 해상을 통해 GOP(일반전초) 이남 통일전망대 부근 해안으로 올라와 해안철책 하단 배수로를 통과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오전 4시20분쯤 도로를 따라 북에서 남쪽으로 이동하던 해당 인원을 민통선 검문소 CCTV로 식별해 민통선 내 미상인원 식별 시 작전 절차에 따라 작전병력을 투입해 민통선 북방에서 오전 7시20분쯤 신병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합참은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육군 22사단의 해안 경계에 문제가 있었다고 밝혔다. 합참은 “현재까지 해당 부대 해안경계작전과 경계 시설물 관리에 대해 확인한 결과 해당 인원이 해안으로 올라온 이후 군 감사장비에 몇 차례 포착됐으나 적절한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고 배수로 차단 시설이 미흡했던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그러면서 “이번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지상작전사령부와 합동으로 현장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조사 결과에 따라 후속 대책을 마련, 엄정 조치하겠다”고 덧붙였다.
귀순 의사를 밝힌 북한 남성이 비록 잠수복을 착용했다고 해도 한겨울 차가운 바다로 월남하는 것은 보통 체력으로는 어렵기 때문에 군과 정보 당국은 이 남성의 신원을 확인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최전방 철책을 넘어 귀순 의사를 표명한 북한 남성도 마치 ‘기계체조 선수’ 같은 몸놀림으로 철책을 가뿐히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북한 남성들이 보통의 상식을 넘어서는 방식으로 월남하는 것에 대해 군 관계자들은 예사롭지 않다는 반응이다.
한편 이번 사건이 발생한 부대는 작년 11월 북한군 남성의 ‘철책 귀순’과 2012년 10월 북한군 병사가 군 초소 문을 두드려 귀순 의사를 표시한 일명 ‘노크 귀순’이 있었던 곳이다. 군 기강해이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경계 감시망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