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국채 수익률 증가에 하락…S&P 0.06% ↓

입력 2021-02-17 06:49 수정 2021-02-17 10:09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입회장에서 한 트레이더가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 바이든 행정부의 경기부양 자금 지출과 코로나19 백신 배포 확대에 장중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미국 뉴욕증시는 국채 수익률이 증가했다는 소식과 함께 하락 마감했다.

1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24포인트(0.06%) 내린 3932.59로 장을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47.97포인트(0.34%) 떨어진 1만4047.5에 거래를 마감했다.

다만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가 전장 대비 64.35포인트(0.2%) 오른 3만1522.75를 기록하며 3개 증시 평균 지수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특히 장 초반 원유가격 상승에 힘입어 에너지 섹터가 2.6%, 금융 섹터가 2% 오르며 S&P500지수를 견인했으나 국채 금리 상승세는 발목을 잡혔다.

CNBC는 이날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1.3%를 기록하며 지난해 2월 이후 최고 금리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금리가 인상될 경우 투자자들은 안전자산 투자심리가 작용해 시장의 움직임은 둔화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그러나 최근 투자자들이 새로운 경기부양 자금 지출과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지속적인 지원이 경기 회복 시기를 앞당길 것이라는 기대감에 고무된 상태라고 전했다.

예상보다 좋은 기업들의 실적 발표도 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예정이다. WSJ는 S&P 500에 상장된 기업 4분의 3이 영업이익 발표를 마쳤으며 이들 중 80% 이상이 이익 전망치를 넘겼다고 보도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