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외국인 부동산 거래량이 최근 5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인들의 국내 ‘부동산 쇼핑’이 활발했다. 지난해 외국인 부동산 거래의 절반 이상이 ‘차이나 머니’로 이뤄졌다.
16일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거래량은 2만6836건으로 집계됐다. 거래 금액은 11조2409억원에 달한다.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거래는 2016년 2만1452건, 2017년 2만4411건, 2018년 2만6422건으로 완만하게 늘었었다. 이후 2019년 2만3933건으로 소폭 감소했지만 지난해 다시 반등했다.
지난해 전체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거래 중 51.3%(1만3788건)는 중국인에 의한 거래였다. 중국인의 부동산 거래는 박근혜정부 시절인 2016년에는 7694건에 그쳤었다. 하지만 지난해 1만3788건으로 4년 만에 79.2% 늘었다.
중국인들은 특히 수도권 위주로 ‘부동산 쇼핑’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의 수도권 부동산 거래 건수는 1만793건이었다. 서울 구로구, 금천구, 영등포구, 강서구에 집중적으로 투자했다. 지난해 7043건을 거래한 미국인이 서울 강남구와 용산구, 서초구 같은 강남권에 투자한 것과 대조적이다.
시장에서는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규제로 국내 투자자들의 손발이 묶인 반면 외국인은 대출이나 자금 출처 증명 등 규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워 부동산 거래량이 늘었다고 해석한다. 외국인이 자국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려 국내 아파트를 살 경우 대출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다. 김성원 의원은 “정부의 규제 정책으로 국민의 손발이 묶인 틈을 타서 중국인들이 K부동산 ‘줍줍’(줍고 또 줍는다)에 나선 셈”이라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