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쓰오일이 대규모 투자로 확보한 정유·석유화학 시설의 효과로 정유 4사 중 유일하게 4분기 영업익 흑자를 달성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에쓰오일은 지난해 4분기 매출액 4조 2803억원, 영업익 931억원을 내며 3분기 대비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석유 소비 감소로 897억원의 손실이 발생했으나 석유화학 사업에서 727억원, 윤활기유 사업에서 1101억원의 영업익이 발생해 반등을 이끌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석유화학 원료인 산화프로필렌, 윤활기유, 최근 각광받고 있는 저유황 선박유(LSFO) 등 수익성이 좋은 제품 생산을 최대로 끌어올린 전략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2018년 말 가동을 개시한 에쓰오일의 신규 고도화시설(RUC&ODC)은 원가경쟁력과 운영 효율성이 세계 최상위권으로 평가된다.
잔사유 고도화시설(RUC)에서는 원유보다 저렴한 중질의 잔사유를 원료로 휘발유, 고급 휘발유용 첨가제, 프로필렌, 에틸렌 등을 생산한다.
RUC에서 생산된 프로필렌은 올레핀 하류시설(ODC)에 투입돼 폴리프로필렌(PP), 산화프로필렌(PO)으로 재탄생한다. 이는 국내외 석유화학 업체에 공급된다.
RUC와 ODC는 지난해 3분기 두 달의 정기보수 작업을 마무리했다. 4분기에는 RUC 등 고도화 시설이 모두 가동돼 원유정제시설의 가동률이 100%에 달했다. 같은 기간 국내 정유사들이 4분기 가동률을 80% 수준으로 낮춘 것과는 차별화된 행보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