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 등 1인 미디어 창작자 상위 1%의 연간 수입이 평균 6억7100만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하위 50%는 1인당 평균 수입이 108만원에 불과했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수입금액 백분위 자료’에 따르면 유튜버 수입의 양극화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에 따르면 2019 귀속연도 종합소득을 신고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인원은 총 2776명으로 수입금액은 총 875억1100만원, 1인당 평균 3152만원으로 집계됐다.
상위 1%에 해당하는 27명의 수입금액은 181억2500만원, 1인당 평균 6억71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수입액의 21%에 달한다.
상위 10%에 속하는 277명의 1인당 평균 수입금액은 2억1600만원가량이다. 반면 하위에 속하는 50% 1388명의 수입금액은 총 15억원으로 1인당 평균 108만원 수준이다. 하위 33%에 속하는 917명의 평균 수입금액은 연간 100만원에도 못 미쳤다.
업종코드가 생기기 전 유튜버는 ‘기타 자영업’ 등의 코드로 소득을 신고했기 때문에 이들의 소득을 따로 파악하기가 힘들었다.
이에 국세청은 유튜버와 BJ 등 인터넷·모바일 기반 미디어 플랫폼 환경에서 영상콘텐츠를 제작해 수익을 올리는 신종사업자의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2019년 9월에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과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업종코드를 신설했다.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은 스태프나 시설 없이 방송을 제작·진행하는 1인 유튜버가 대표적인 유형이다.
양경숙 의원은 “과세코드가 신설돼 수입원에 대한 정확한 규모와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됐지만, 여전히 유튜버 개인이 자진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세 당국이 수익을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국세청이 자진신고를 철저하게 유도하고 소득세 탈세가 이뤄지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