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상도 국민의힘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씨가 코로나19 피해 긴급 예술 지원 공모 사업에서 특혜를 받았다고 또 주장한 것에 대해 서울문화재단이 “사실이 아니다”고 재차 반박했다.
재단은 14일 “곽상도 의원 측이 주장하고 있는 의혹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이에 대해 일일이 대응할 가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이렇게 밝혔다.
곽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재단이 지난해 4월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문화예술계를 지원하는 ‘코로나19 피해 예술인 긴급지원사업’에 추가 재원을 투입, 지원 규모를 확대한다고 밝혔던 점을 놓고 의혹을 제기했다. 규모를 확대하지 않았더라면 준용씨는 탈락했다는 게 그의 요지다.
곽 의원은 “애초 공고된 대로 150건 내외였다면 28등 정도까지 선발됐을 것이고 그러면 34등 준용씨는 탈락했을 것”이라면서 “‘문재인 보유국’의 문 대통령 아들이 떨어지게 생겨서 그런 것인지 해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재단은 지난해 4월 28일 배포했던 자료를 제시하며 해명했다. 당시 ‘코로나19 피해 예술인 긴급지원’ 마감일인 지난해 4월 20일을 기준으로 당초 선정 규모인 500여건의 10배에 해당하는 4999건이 접수, 더 많은 예술가에게 지원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추가 재원을 확보해 선정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재단은 지난해 4월 3일 해당 지원사업을 공모했을 때 ‘피해사실 확인서가 참고용이라고 따로 공지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는 지난 10일 보도에 대해서도 해명에 나섰다. 해당 보도는 준용씨가 ‘코로나 피해 긴급 예술 지원’을 신청하면서 피해사실 확인서에 네 줄을 적고 최고액 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것에 대한 의혹 제기에 재단이 “피해사실 확인서는 참고자료일 뿐”이라고 밝혔으나 공모 당시 공지 내용에는 이 같은 표현이 없었다는 점을 지적했다.
재단은 이에 대해 “심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별도 내용은 공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지하지 않았다.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심의 기준에 피해사실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내용은 공지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