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운 시기를 견디고 있는 취약계층·피해업종 지원을 위해 3조8000억원 규모의 ‘2021년 1차 대구형 경제방역대책’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1차 대책에서 중점을 둔 부분은 정부 지원에서 소외된 계층을 지원하는 것으로 일자리·긴급복지 중심의 사각지대 지원대책이 특징이다. 긴급 피해지원 확대 분야에 1409억원, 코로나19 방역 강화 분야에 158억원, 민생경제회복지원 분야에 3조6000억원을 지원한다.
이번 지원대책은 생계·생존자금, 대구희망지원금에 이은 세 번째 대규모 지원대책으로 정부지원 사각지대 보완과 취약계층 생계안정, 코로나19 방역 강화, 민생경제 회복지원에 초점을 맞췄다.
긴급 피해지원 확대를 위해 대구형 희망플러스 일자리 1만개 추가 공급, 정부지원 사각지대 보완을 위한 버팀목 플러스자금 130억원 지원, 소상공인 부담 완화를 위한 임대료 인하 및 지방세 감면 173억원, 위기가구 2만6000가구 추가 지원 등에 1409억원을 지원한다.
코로나 방역 강화를 위해 코로나 대응 지역의료기관 손실보전, 어린이집·종교시설·영화관·전통시장 등 방역 물품 지원 등에 158억원을 지원한다.
민생경제 회복지원을 위해서는 경영안정자금의 지원대상 연매출 조건 폐지와 소상공인 임차료 특별지원항목 신설을 통한 지원대상 확대, 창업 및 경쟁력강화자금 상환유예 및 공장 임차보증금 지원신설, 대구행복페이 카드수수료 부담 제로화, 온누리 상품권 사용확대를 위한 골목형 상점가 30개소 추가발굴, 대구시 본청 예산 신속집행 목표 상향추진, 창업실패자 재도약 자금 업종제한 폐지로 폐업식당주 등 재기 지원, 노란우산공제 가입지원 확대 등을 실시한다. 예상 지원 규모는 3조6000억원이다.
대구시는 이번 지원 대책이 조금이라도 빨리 적용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추진할 예정이다. 제도 개선을 통해 즉시 시행이 가능한 민생경제 회복지원 분야는 이달 중 시행하고 예산반영이 필요한 긴급피해지원분야와 코로나방역강화 분야는 세부 계획을 세우고 시의회와 협의를 거쳐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시행할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지금 모두가 어려운 시기지만 특히 취약계층 등 지원 사각지대에 있는 시민들을 지원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대구시는 쓸 수 있는 모든 재원을 동원해서 일자리와 복지 중심의 경제방역을 펼칠 방침이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