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앞으로 인천이나 경기도까지 도시·광역철도를 직접 연장하는 방식을 폐기한다고 선언했다. 재정 부담에 내린 결정으로 이미 연장이 확정된 구간만 개통하고, 앞으로는 쉽게 갈아탈 수 있도록 ‘평면환승’이 추진될 계획이다.
서울시는 9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도시철도 연장 및 광역철도 추진 원칙’을 발표했다. 그러면서 그간 서울교통공사가 시내 본선뿐만 아니라 7호선 부평구청(인천) 연장, 5호선 하남(경기) 연장 등 시외 노선까지 운영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재정 적자를 비롯해 각 지방자치단체의 미온적인 책임 분담, 추가 직결 연장 요구 등이 시가 밝힌 대표적인 이유다.
특히 공사가 수년간 만성적인 적자 상태를 이어오며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1조954억원, 올 연말에도 1조5991억원의 손실이 생길 것으로 시는 예상했다. 지난해 무임수송으로 인한 손실이 2767억원에 달하지만, 중앙정부의 지원이 없다는 점도 재정 부담을 키운 원인으로 꼽힌다.
아울러 시와 공사는 연장 노선의 사고 예방 등을 위해 시설물 개선 비용을 각 지자체에 요청했지만, 일부에 그쳐 시내 본선 구간 운행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전했다. 또 새로운 노선이 연계돼도 지자체가 충분한 열차를 추가로 투입하지 못해 지하철 혼잡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결국 시의 결정은 ‘직결연장’이 아닌 ‘평면환승’ 원칙이었다. ‘평면환승’은 맞은편 플랫폼으로 곧장 이동하면 열차를 바로 갈아탈 수 있는 방식이다. 시는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평면 환승’의 경우에도 사전 필수 시설·시스템 구축 등을 관할 지자체가 책임지고 운영하도록 할 방침이다.
다만 각 지자체가 추진 중인 5호선 하남선, 7호선 연장선(인천·경기북부), 8호선 별내선, 4호선 진접선 등의 노선에서 이미 연장이 결정된 구간까지는 종전처럼 개통된다. 추가 직결 연장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게 시의 방침이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