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장을 마감했다. 새로운 경기부양책에 따른 경제 회복 기대감이 이어지면서 증시 상승세가 나타났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37.52포인트(0.76%) 오른 3만1385.7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8.76포인트(0.74%) 오른 3915.59,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31.35포인트(0.95%) 오른 1만3987.64에 각각 장을 마감했다.
3대 지수 모두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했다. S&P500과 나스닥은 3일 연속 동반 신고점을 기록했다. 다우지수는 거래일 기준 6일 연속 올라 지난해 8월 이후 최장 기간 상승세를 기록했다. 중소형주 지수인 러셀2000도 이날 2.5% 상승하며 역대 최고가 기록을 세웠다.
미 의회에서 대규모 추가 재정부양책 통과 가능성이 커지자 투자심리가 개선되며 뉴욕증시 랠리가 시작됐다. 미 상·하원은 지난주 예산결의안을 가결했다. 이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공약한 1조9000억 달러 규모의 구제법안을 과반 찬성만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 조치다. 민주당 단독으로 추가 부양책을 처리할 수 있는 셈이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도 전날 의회에 추가 부양책 처리를 호소하면서 이를 통해 2022년까지 미국이 완전고용 수준을 회복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국의 고용전망도 낙관적으로 제기되면서 증시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코로나19 백신 보급에 따른 경제활동 정상화 기대감과 기업들의 잇따른 4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도 뉴욕증시 상승세에 영향을 미쳤다. 팩트셋에 따르면 지난주까지 실적을 발표한 295개의 S&P500 포함 기업 중 81%가 시장 예상을 넘어서는 실적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올해 1~2분기 향후 실적에 대한 시장 기대치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코로나19 상황이 다소 진정됐다는 점도 투자심리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지난주 미국의 신규 확진자는 전주보다 약 2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주간 기준 신규 확진자 규모는 4주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이날 브렌트유가 1년여 만에 배럴당 60달러 선을 회복한 점도 자산시장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이날 엑손모빌은 4.3%, 델타항공은 5.1%, 아메리칸항공은 3.4% 각각 올랐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