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향해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멀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대통령은 미·중 사이에 “극한 경쟁(extreme competition)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방영된 미국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미·중 관계에 대해 언급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시 주석을 향해 “그는 매우 영리하고, 터프(tough)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비판이 아니라 실제로 그러한데, 그(시 주석)는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멀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어 “나는 줄곧 그에게 우리는 충돌할 필요가 없다고 말해왔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극한 경쟁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러면서 “나는 그(시 주석)가 아는 방식으로 하지 않을 것”이라며 “나는 트럼프가 했던 방식으로 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우리는 국제적 규칙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든 대통령은 “아직 시 주석과 전화통화를 하지 않았다”면서도 “그와 통화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대화의 문은 언제나 열려있다는 의미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나는 그를 매우 잘 안다”면서 시 주석과 대화를 나눌 경우 “우리는 할 얘기가 매우 많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중 강경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사용했던 일방주의 방식으로는 대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은 동맹국들을 규합해 중국을 압박하는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분석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민주주의와 인권, 그리고 중국의 지적재산권 탈취 등 다양한 이슈로 중국을 옥죌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 봉쇄에 동맹국들의 도움을 요청하면서 한국에 참여를 요구할 경우 한국이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또다시 난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4일 미국 국무부를 방문, 연설을 통해 “중국은 가장 심각한 경쟁자”라면서 “우리는 안보·민주주의·인권·지적재산권 등에 대한 중국의 공격에 맞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러면서도 “우리는 미국의 국익과 부합될 경우 중국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온 양면책을 구사했다. 그는 “미국의 동맹은 우리의 가장 큰 자산”이라며 동맹국들과 협력해 중국을 압박하겠다는 구상을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란의 핵문제와 관련해 ‘이란을 협상 테이블로 되돌아오도록 하기 위해 먼저 제재를 해제할 것이냐’는 질문에 “아니다(No)”라고 답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