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탁 중인 유기 동물 보호소를 직영화 하고 반려 동물을 판매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하는 행위도 금지해야 합니다”
경북도는 이철우 도지사의 특별 지시에 따라 유기 동물 보호 관리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주장이 잇따랐다고 7일 밝혔다.
경북도는 지난달 21일부터 29일까지 9일간 동물 보호단체, 동물 관련 학교,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경상북도 유기 동물 보호 관련 정책 마련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총 212건의 의견이 접수된 가운데 위탁 중인 유기 동물 보호소의 직영화, 보호소 시설 및 보호 환경 개선, 반려 동물을 판매의 목적으로 생산하는 행위 금지 등의 내용이 많았다.
또 보호소 반려견의 입양률 확대와 안락사 반대, 반려 동물 등록 철저, 반려 동물과 함께 할 수 있는 공간 확대, 중성화 수술 등 반려 동물 관련 예산 확대 등의 의견도 잇따랐다.
농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5분의 1이 반려 동물을 키우고 있고 경상북도에서만 2016년 3800여 마리, 2020년 9600여 마리의 유기 동물이 구조될 정도로 늘어난 반려 동물 만큼이나 유기되는 동물의 수도 함께 증가했다.
경북도는 지난 1일부터 26일까지 한 달간 실시 중인 ‘유기동물 보호소 실태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시설과 보호 환경이 열악한 보호소를 대상으로 직영화와 시설을 개선할 수 있는 예산을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도는 현재 7곳인 시·군 직영 보호소를 2022년까지 13곳 까지 늘리고 농촌지역 반려견에 대한 중성화와 사육 환경 개선을 위해 시·군 수요 조사를 한다는 계획이다.
또 반려 동물의 소유자의 등록 의무와 반려 동물 유기 시 처벌 및 잃어버린 반려 동물을 찾거나 분양받을 수 있는 동물보호관리시스템(www.animal.go.kr)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기로 했다.
도는 이번에 접수된 의견은 경상북도 동물 보호와 복지 5개년 계획과 함께 경상북도 유기 동물 보호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반려 동물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됐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개인의 소유물로 생각하거나 등록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거나 치료비가 많이 들고 키울 상황이 안 된다는 이유로 유기하는 소유자가 많다”며 “이번에 모아진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해 반려 동물이 행복한 경북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