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진정 국면에 접어들었으나 신규 확진자가 확실하게 줄어들지는 않고 있다. 대규모 인구 이동이 예상되는 설 연휴(2.11∼14)를 고리로 코로나19가 재확산할 가능성도 있어 방역 당국이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7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국내 신규 확진자는 총 393명이다. 직전일(370명)보다 23명 늘었지만, 이틀 연속 300명대를 유지했다.
이날 0시 기준으로 발표될 신규 확진자 역시 300명대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방역 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가 전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중간 집계한 신규 확진자는 총 327명이다. 오후 9시 이후 확진자 증가 폭이 두 자릿수에 그치는 최근 흐름과 검사 건수가 줄어드는 주말 영향을 고려하면 신규 확진자는 300명대 중후반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1주간 확진자 평균치도 약간 더 낮아질 전망이다. 최근 1주일(1.31∼2.6)간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354명→305명→336명→467명→451명→370명→393명을 기록해 하루 평균 382명꼴로 발생했다.
거리두기 단계 조정의 핵심 지표인 지역발생 확진자는 하루평균 355명까지 떨어져 거리두기 2단계(전국 300명 초과) 범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4주 전 0.79까지 떨어졌던 감염 재생산지수가 다시 1에 근접하고 있는 데다 설 연휴까지 앞두고 있어 코로나19가 언제든 재확산할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감염 재생산지수가 1 이상이면 ‘유행 확산’, 1 이하면 ‘유행 억제’를 뜻한다.
강도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도 전날 브리핑에서 “현재 3차 유행이 재확산하는 상황으로, 아직 (증가세로) 반전된 것은 아니지만 감소세가 정체되고 재확산의 위험이 존재하는 국면으로 분석하고 있다”면서 “설 연휴가 바이러스에는 절호의 확산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 전국 곳곳에서 연일 확진자가 나오는 상황이다. 기존 집단발병 사례에서 추가 감염자가 나오는 데 더해 크고 작은 일상감염도 새로 확인되고 있다.
주요 사례를 보면 서울 강북구 소재 사우나에서 지금까지 27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성동구 한양대병원 관련 누적 확진자는 80명으로 늘었다. 또 서울 중구 소재 복지시설 관련 누적 확진자는 83명으로 불어났고, 경기 안산시 병원 3번 사례와 남양주시 요양원 2번 사례에서는 현재까지 각각 16명, 1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세도 심상치 않다. 국내에서 확인된 변이 감염자는 전날 12명이 늘어나면서 누적 51명이 됐다. 이 가운데 영국발 변이 감염자가 37명, 남아공발 변이 감염자가 9명, 브라질발 변이 감염자가 5명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2.5단계·비수도권 2단계)와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치를 오는 14일까지 유지키로 하면서도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고충을 고려해 8일부터 비수도권 다중이용시설(식당·카페·실내체육시설 등)의 영업시간 제한을 오후 9시에서 10시까지로 1시간 늦추기로 했다.
다만 신규 확진자의 70% 이상이 몰려 있는 수도권은 오후 9시까지인 현행 영업시간 제한 조치가 그대로 이어진다. 이는 방역과 자영업자의 생계를 동시에 고려한 조치다.
강 1총괄조정관은 “운영시간 연장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관련 협회·단체가 철저하게 방역수칙을 적용할 방침”이라며 “위반 사항이 적발된 시설에 대해서는 과태료 부과와 별도로 무관용 원칙에 따라 즉시 2주간 집합금지명령을 실행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