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쪽방촌, 공공주택으로 탈바꿈한다…2310가구 공급

입력 2021-02-05 14:01

국내 최대 쪽방촌이 공공주택으로 탈바꿈한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서울역 쪽방촌’을 2030년까지 명품 주거 단지로 조성하겠다고 5일 밝혔다. 기존 세입자의 공공임대를 보장하고 추가 물량은 분양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주거 환경 개선과 함께 ‘공급 쇼크’라 평가되는 ‘2·4 부동산 대책’에 초역세권 물량을 일부 더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개발 대상이 되는 지역은 서울 용산 동자동 일대다. 서울역 맞은편에 위치한 초역세권이지만 국내 최대 쪽방촌이라는 딱지가 달려 있다. 수차례 도시정비사업으로 큰 길 쪽으로는 대형 빌딩이 들어섰지만 뒤쪽으로는 열악한 주거 공간이 그대로 남아 있다. 지은 지 30년 이상 된 건물이 80% 이상을 차지한다. 국토부는 해당 지역 내 4만7000㎡ 부지를 개발해 모두 2310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주민 수렴 절차 등을 거쳐 올해 지구 지정을 마치고 2023년 착공할 예정이다.


공공 주도로 고밀도 개발이 이뤄진다. 전체 개발 물량 중 1250가구는 쪽방촌에 거주 중인 세입자들을 위한 물량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해당 지역에는 1007명 정도가 거주 중이다. 임시 거주소를 만들어 이전한 뒤 입주가 시작되는 2026년부터 순차적으로 새 보금자리로 옮긴다. 기존 쪽방보다 넓고 더 싼 임대료에 거주할 수 있도록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1.7~6.6㎡ 수준인 쪽방을 18㎡까지 늘려 주고 월평균 24만4000원 수준인 임대료도 3만7000원까지 낮춘다. 삶의 여건이 대폭 개선되는 것이다. 서울역 쪽방촌에서 20년째 봉사 활동을 하고 있는 김용삼 목사는 “더불어 함께 살아 갈 수 있는 주거 모델의 허브가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라고 소회를 밝혔다.

공공임대물량 외 1160가구는 분양할 계획이다. 200가구는 쪽방촌 거주자에게 우선권을 주고 나머지 960가구는 민간 분양으로 진행한다. 용적률을 높여 개발할 수 있다보니 1000가구 이상 분양할 수 있을 만큼 여유가 생겼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시와 협의해 40층까지 층고를 높일 수 있도록 해놨다”고 설명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