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또 기재부 저격…“조달청이 공공 조달시장 독점”

입력 2021-02-05 10:51
지난달 29일 오후 광주시청 비즈니스룸에서 열린 인공지능헬스케어 플랫폼 구축 결성식에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연일 기획재정부를 향해 비판의 날을 세우고 있다. 이번에는 기획재정부 산하 조달청이 공공 조달시장을 독점에 문제가 생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지사는 5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며 “기재부 산하 조달청이 정부·지자체·공공기관 등 공공 조달시장을 독점함으로써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며 “가격 비교조차 불가능한 시스템으로 효율적으로 쓰여야 할 공공 재정이 낭비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 지사는 “공공 조달임에도 일반쇼핑몰보다 오히려 가격이 높다(2020년 조사에 따르면 최저가 대비 20% 이상 높음)”면서 “비싼 제품을 강제 구매하도록 하면서 막대한 수수료(2018년 조달청 결산서 수수료 수입 약 2007억원)까지 거둬가지만, 이런 수수료가 지방정부에는 일절 지원되지 않고 조달청 자체 운영비나 일반회계로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지사는 이어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들은 제품이 좋아도 여러 제약으로 인해 조달시장 접근이 어렵다”며 “2019년을 기준으로 보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11.6%만이 나라장터에 참여했다”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조달청이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시중 165만∼200만원에 불과한 제품이 조달청을 거치며 550만원으로 가격이 부풀려진 채 전국의 소방관서에 납품됐다”며 “이렇게 40억원대의 부당이득을 취한 게 사실이라면 공공 조달시장의 독점·독식 구조가 낳은 범죄적 폭리이자 형사고발을 검토해야 할 중대 사안”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경기도는 조달시장의 경쟁을 복원하고 재정 운용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정한 조달시스템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를 위해선 관련 법령의 개정과 관계부처의 협조가 필요하다. 기재부와 조달청 등 중앙부처의 전향적 자세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연일 기재부를 겨냥한 비판 발언을 쏟아내고 있다. 최근 이 지사는 광역버스 요금 인상 비용을 두고 국토교통부와 경기도 간 합의를 기재부가 뒤집고 예산을 삭감했다고 지적하며 “무소불위 기재부의 나라”라는 표현까지 사용했다. 또 이 지사는 재정건전성을 고수하는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에게 “전쟁 중 수술비를 아낀 것은 자랑이 아니라 수준 낮은 자린고비임을 인증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