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위험 심방세동 환자라도 흡연하면 뇌졸중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방세동은 심장이 분당 박동수 60~100회를 벗어나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의 한 종류다. 이유없이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답답함, 호흡곤란 등을 느끼면 의심할 수 있다.
뇌졸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서울대병원 최의근 교수팀(권순일 전임의, 고상배·김태정 교수)은 저위험 심방세동 환자를 대상으로 뇌졸중 발생 위험인자를 연구한 논문을 미국 부정맥학회지(Heart Rhythm Journal)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저위험 심방세동 환자를 뇌졸중, 비뇌졸중 그룹으로 각 44명, 220명씩 나눴다.
나이, 흡연, 동반질환, 심초음파 및 혈액 검사결과 등 여러 요인을 비교한 결과 유일하게 흡연만이 저위험 심방세동의 뇌졸중 발생과 연관됐다.
특히 뇌졸중 그룹 44명은 전원이 심장 원인의 뇌졸중으로 판명됐다. 직접적 원인으로는 심방세동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저위험 심방세동 환자의 흡연이 뇌졸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라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부정맥의 가장 흔한 유형인 심방세동은 노인의 약 10%를 차지한다. 환자는 뇌졸중 위험이 중등도 이상이면 예방을 위해 항응고(혈전 방지) 약물치료를 받는다.
하지만 항응고 치료를 받지않는 저위험 심방세동 환자에게도 여전히 뇌졸중이 발생한다. 뇌졸중 발생 가능성 예측이 중요한 이유다.
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는 5일 “저위험 심방세동 환자라도 흡연을 하고 있으면 뇌졸중 위험이 높아진다는 중요한 결과다. 저위험 심방세동 환자의 금연 근거를 마련했다”고 의의를 설명했다.
신경과 고상배 교수도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심뇌혈관 위험인자 관리는 중요하게 여겼지만 금연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다”며 “뇌졸중 예방을 위해 금연의 중요성을 다시 상기시켜주는 결과”라고 강조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