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지식재산(IP) 금융 규모가 사상 최초로 2조원 대를 돌파했다.
특허청은 2019년 IP금융 규모 1조3500억원을 달성한데 이어 지난해 2조640억원을 달성했다고 4일 밝혔다. 전년 대비 52.8% 늘어난 수치다.
IP금융은 지식재산의 가치평가를 통해 금융기관이 IP담보대출·IP보증대출·IP투자 등으로 기업에 자금을 제공하는 활동이다.
유형별로는 지식재산권을 담보로 실행하는 IP담보대출액 1조930억원, 지식재산권을 기반으로 보증서를 발급하는 IP보증액 7089억원, 우수 지식재산권을 보유한 기업이나 지식재산권에 직접 투자하는 IP투자액은 2621억원이었다.
이중 IP담보대출액은 전년의 4331억원보다 2.5배 늘며 1조원을 넘어섰다. 민간 은행 대출은 전체 대출액의 68.5%(7483억원)을 차지했다.
IP보증서 발급액의 경우 전년도의 7240억원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보증기관 정책자금을 통해 IP보증서 발급이 지속됨에 따라 올해는 예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
2621억원을 기록한 IP투자액은 지식재산 금융투자 활성화 정책, 민간 투자기관의 IP투자 인식 향상 등으로 전년의 1933억원 대비 35.6%(688억원) 증가했다.
유망 특허기술 자체에 투자하는 IP직접투자액도 전년의 113억원보다 4배 증가한 46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식재산 금융은 특허기반 혁신기업이 경영난을 극복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IP담보대출 기업 1608곳을 조사한 결과, 신용등급이 높지 않은 BB 등급 이하 기업의 대출이 전체의 74.4%(1197곳)에 달했다.
대출금리도 2% 내외로 평균 3~4%대인 중소기업 신용대출 금리보다 낮아 기업의 부담을 크게 덜어 준 것으로 파악됐다.
박호형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IP 금융이 성장기로 진입한 만큼 금융시장 내의 자생적 확산이 중요하다”며 “금융시장에 고품질 IP 가치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혁신기술 기업에 금융시장 자금지원이 활성화되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