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올해 임금인상률 6.8% 요구… IMF 이후 최저치

입력 2021-02-04 16:00

한국노총이 올해 정규직·비정규직 노동자 임금인상 요구율을 전년 대비 1.1% 줄어든 6.8%로 4일 결정했다. 이는 코로나19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한국노총은 이날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올해 정규직 임금인상 요구율 6.8%는 IMF 이후 최저치”라며 “비정규직 임금인상 요구율도 정규직과 동일하게 정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노총 산하 연맹·단위노조의 임금인상 요구율 산정 참고자료로 쓰인다.

한국노총은 노동자 가구(평균 3.14인)당 필요한 월 생계비는 504만9905원이라고 설명했다. 이 중 노동소득으로 충족해야 할 생계비는 434만2919원(86.0%)으로 구분했다. 여기에 물가상승률 전망치인 1.0%를 반영하면 438만6348원을 온전히 노동소득으로 충족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해 노동자가 월평균 받은 임금은 374만8537만원으로, 63만7811원이 부족하다.

한국노총은 실질적으로는 부족한 생계비를 모두 임금인상 요구액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지만, 63만원대 목표액을 한 번에 달성하기 힘들고 지난해 물가상승률과 임금인상 타결률 등 현실을 고려해 필요한 생계비의 91.3% 수준인 25만6199원(6.8%)을 요구하기로 했다. 코로나19에 따른 영향도 감안했다.

6.8% 임금인상 요구율은 1999년 5.5% 이후 22년 만에 최저치다.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7.0%를 웃돌았다. 다만 올해 실제 임금인상률은 6.8%에 훨씬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한국노총은 7.9% 임금인상을 요구했지만, 실제 인상률은 2.9%에 그쳤다. 올해도 2.0% 안팎에 머물 거란 전망이 우세하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노사분담을 전제로 현장 사정에 맞게 임금인상분 내에서 일정비율을 출연하는 공동근로복지기금 설치를 제안한다”면서 “생산 활동으로 발생하는 이익을 대기업과 중견기업, 중소기업 노동자가 모두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