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항공제조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신속하게 지정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하는 등 지원에 적극 나섰다.
경남도는 4일 도내 항공제조업의 빠른 회복과 활력 제고를 위해 기업의 애로를 중앙정부에 건의하고 국산헬기 세일즈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종원 경제부지사는 이날 중앙정부와 국책은행 등을 방문해 특별고용지원업종 신속 지정, 대출금 상환유예·신용도 완화 등 금융지원 확대, 국산 헬기 수리온 구매 확대 등 업계의 요구를 전달했다.
박 부지사는 오는 3월까지 항공제조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신속히 지정할 것을 고용부에 건의했다.
항공제조업이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되면 고용유지지원금, 직업능력개발훈련, 생계비 대부한도 등이 추가로 지원되고 고용·산재보험료와 건강보험료 등의 납부기한 연장, 체납처분 유예 등 혜택이 부여돼 항공제조업의 고용유지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또 항공산업의 특성을 반영해 대출금 상환유예와 신용도 완화 등의 금융지원 확대 방안을 정부와 금융위원회, 산업은행 등에 전달했다. 지난해부터 운영해 온 기간산업안정기금의 경우 총 차입금 5000억 원 이상, 근로자 수 300인 이상이라는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하는 까다로운 조건으로 경남도는 물론 국내 항공제조 기업의 이용실적이 전무한 실정이다.
중소협력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기간산업 협력업체 지원프로그램 역시 높은 대출금리, 짧은 상환기간(2년, 1차년 20%, 2차년 80% 상환)과 엄격한 심사조건으로 항공제조 중소협력업체가 금융권의 문턱을 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도는 국내 항공기술로 개발된 국산헬기(수리온) 구매 확대를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정부와 소방청, 지자체 등을 대상으로 판로 개척을 지원할 계획이다.
경남도와 한국항공우주산업은 지난해 역대 최대의 관용헬기(수리온 5대) 수주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도 세일즈팀을 꾸려 헬기를 구매할 시도와 관련기관을 직접 방문해 수리온의 특장점과 우수성을 설명할 계획이다.
조현준 도 산업혁신국장은 “항공제조업은 우리가 미래산업으로 육성해 나가야 할 주요 기간사업”이라며“국가 안보와도 직결되는 항공제조업의 생태계 붕괴를 막고 코로나19 장기화로 침체에 빠진 항공제조업이 조기에 회복하고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적극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경남도, ‘항공제조업 회복’ 기업 애로 해소 박차
입력 2021-02-04 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