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공동어시장에 대한 현대화·공영화 사업이 난기류에 휩싸이면서 시간 낭비는 물론이고 국비 반납 사태까지 벌어지자, 시민단체가 시민의 이름으로 책임을 묻겠다며 항의하고 나섰다.
부산지역 시민단체인 ‘부산항을 사랑하는 시민모임’(이하 항사모)은 3일 성명을 내고 “부산시와 부산공동어시장 5개 조합 공동법인(이하 조공법인)이 그들만의 다툼으로 공동어시장 현대화와 공영화 사업이 방치되고 있다”고 밝혔다.
항사모는 “지난해 말에는 부산시가 미리 확보해 뒀던 관련 국비 151억원을 3년 만에 반납하는 허탈한 일까지 빚어져 어안이 벙벙할 지경”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조공법인과 부산시의 입장 차이로 공영화 자체가 파기될 경우 현대화에 책정된 국비 1200억원의 향후 확보도 장담할 수 없다”고 우려감을 표했다.
이에 항사모는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는 현재 5개 조합체제로 진행하고, 공영화는 현재의 5개 조합이 주체가 되어 추진하며, 부산시가 현대화와 공영화를 지원하는 ‘민간주도의 준공영 체제’ 추진을 제안했다.
항사모는 “부산공동어시장의 경매, 위판 시설을 너무 낙후되고 위생적으로도 매우 후진적인, 매우 부끄러운 일”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부산공동어시장은 부산시민의 중요한 먹거리이자 수산관광자원으로 활용을 위해서도 시급하며 소비자 수산도매시장 개설도 시급하다”면서 “4월 이후 신임 부산시장 취임까지는 시간이 없음으로 이병진 부산시장 권한대행이 결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공영화를 논의하기 위해 부산시, 시의회, 공동어시장, 부산수산정책포럼, 학계, 연구계,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부산공동어시장 미래발전위원회’(가칭) 구성도 제안한다”고 했다. 여기에다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부산수산식품클러스터 조성, 부산수산관광자원화 등 부산공동어시장 전반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 논의 기구를 운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동어시장 현대화사업은 1971년에 지은 어시장을 172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새롭게 정비하는 부산의 숙원 사업이다.
이에 대해 부산시 관계자는 “국비는 2년간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반납해야 한다”면서 “사업이 정상 궤도에 오르면 언제든 다시 받아 올 수 있는 만큼 사업의 주체가 되는 수협 등 이해관계 기간의 빠른 의사결정을 기대한다”고 해명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