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근로현장으로 재취업을 지원한다. 위기에 직면한 소상공인의 재기를 도와주고 구인난을 겪는 근로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시종 지사는 3일 비대면 브리핑을 통해 “도내 소상공인 10만여명 중 연간 2000명씩 5년간 1만명에게 생산적 일자리 창출을 지원할 것”이라며 “폐업·생계 지원, 교육 훈련, 취업 장려금 등을 지급해 위기에 직면한 소상공인의 재기를 돕고 부족한 생산적 일자리를 보강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는 직업 전환 훈련에 올해에만 156억원(5년간 780억원)을 투입한다. 지급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추경 편성이 불가피하다.
도는 우선 이달에 소상공인협회와 상인연합회 등을 통해 대상자를 선정하고 구직 수요에 따라 맞춤형 직업훈련을 지원한다. 한국폴리텍대학 청주캠퍼스 등과 협의해 반도체장치 유지보수, 에어콘 설치 보조기사, 전기 기능사 자격 양성과정 등을 운영할 계획이다. 교육기간은 3~6개월 정도 소요된다.
그러나 소상공인들은 직업전환 교육·훈련 방안의 취지와 방향성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재취업이 아닌 안정적인 영업을 요구하고 있다.
박시영(33) 충북대상가번영회장은 “소상공인의 직업전환 교육 대책은 현실성이 없고 자영업자들의 희망을 짓밟은 정책”이라며 “소상공인을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폐업을 유도하는 소리로 들린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가게 운영에 쏟은 열정과 노력을 보상해 주길 바란다”며 “소상공인들은 코로나19 이전으로 되돌아가고 싶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도는 이와 함께 시외버스업체에 4억3000만원, 전세버스업체에 10억원을 지급한다. 시외버스는 기사 1인당 100만원, 전세버스는 영상기록장치가 설치된 버스 1대당 50만원을 지원한다.
코로나19 사태 후 사실상 개점 폐업 상태인 여행·관광업체는 업체당 100만원씩 총 7억3000만원을 지원한다. 어린이집 조리사와 문화예술인에게는 각각 인건비와 창작준비 지원금 명목으로 1인당 50만원을 준다.
이 지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 긴급재난지원금은 정부 차원에서 지급하고, 지자체는 여기서 소외되고 피해가 극심한 계층에 대해 선별적 지원금을 지급한다는 원칙에서 지원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