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법인 독립운동가최재형기념사업회는 3일 광복회가 아무런 협의 없이 ‘독립운동가 최재형 상’을 만들어 수상자를 남발했다며 공식 사과를 요구했다.
사업회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김원웅 광복회장은 작년 최재형 상을 자의적으로 제정해 5월과 12월, 올해 1월 고(故) 김상현 의원과 유인태 전 국회사무처장,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에게 각각 줬다”며 “이는 최재형(1860∼1920) 선생의 정신을 모독하고 후손을 무시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 단체는 “광복회는 수상자 선정 기준을 정한 후 공모해 심의를 거쳐 수상자를 결정해야 하는데 그런 절차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상 제정과 수상자 선정 이전에도 우리 사업회뿐만 아니라 최 선생 유족과 논의조차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사업회는 이어 “광복회 측에 계속 항의했지만 김 회장은 아무런 답변도 내놓지 않는 등 무시하고 있다”며 “최근 최재형 상 수상자의 정치적 편파성을 이유로 우리 단체 후원을 취소하겠다고 밝힌 이들이 잇따르고 있어 오해를 풀기 위해 기자회견을 연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업회는 “우리는 고인의 항일 애국정신에 감동한 기업인 4명이 2011년 출자금을 내 만든 순수한 민간단체”라며 “국가보훈처 법인으로 이관되기 전인 2018년까지 매년 선생의 추모식을, 지난해 10월엔 100주기 추모식을 열었고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아 고려인 학생 한글교육과 장학사업을 준비하는 등 선생의 뜻을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재형 선생은 일제강점기 러시아 연해주에 거주하는 한인의 생계를 돕고 학교를 세웠다. 이후 독립운동을 하다가 1920년 일본군에 의해 체포돼 순국했다.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을 지원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문영숙 사업회 이사장과 채양묵 공동대표 등이 참석했고, 입장문에는 최 선생의 4대손인 최 일리야씨 등 후손과 관계자 20여명이 이름을 올렸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