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여곳의 중소 협력사로 구성된 쌍용자동차 협력사 비상대책위원회가 정부에 실질적인 지원을 해달라고 호소했다. 쌍용차의 생산 재개가 이뤄지지 않으면 중소 협력사들이 줄도산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비대위는 3일 호소문을 통해 “쌍용차 정상화에 대한 희망을 갖고 모든 협력사가 부품을 계속 공급할 수 있도록 정부가 실질적인 지원을 해달라”고 촉구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현재 쌍용차의 300여 중소 협력사들은 약 4개월분의 납품대금을 받지 못해 극심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 쌍용차는 일부 협력사들의 납품 거부로 생산부품 조달에 차질을 빚으면서 이날부터 오는 5일까지 생산공장 가동을 멈춘 상태다.
비대위는 “현재 정부와 금융 관계기관의 긴급 금융지원 프로그램은 쌍용차의 회생절차 신청에 따른 동반 신용 하락으로 사실상 중소 협력사에 실효성이 없어 유동성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비대위는 그간 쌍용차가 수출과 내수를 통해 국가와 지역 경제,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한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또 쌍용차의 회생 문제는 300여 협력사와 10만여 명의 일자리, 20만 여명의 생계가 달린 문제라는 점을 강조했다.
비대위는 “쌍용차가 조기 회생을 하지 못한다면 열악한 경영상황에 처해 있는 중소 협력사는 연쇄 부도로 대량 실업사태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정부의 지원과 부품을 공급하는 대기업 및 외투기업의 협조 없이 자력으로 쌍용차가 경영정상화를 이루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쌍용차는 지난해 12월 기업회생절차 신청 이후 일부 협력사의 납품 거부로 생산 중단을 반복하고 있다. 현재 P플랜(단기 법정관리)을 통한 신규 투자 유치를 노리고 있으나 채권자를 비롯한 이해관계인들과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