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상위 20% 주택 가격이 처음 평균 10억원을 돌파했다. 고가 주택과 저가 주택의 가격 차이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은 1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곧 발표될 정부의 25번째 부동산 대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 가격 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5분위(상위 20%) 주택 가격은 평균 10억2761만원을 기록했다. KB가 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최고치다. 10억원을 넘긴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전국 5분위 주택값은 2017년 2월 평균 6억원을 넘긴 뒤 2018년 9월 7억원을 돌파하며 1년7개월 동안 1억원이 올랐다. 그 후 1년4개월 만인 지난해 1월 8억원을 넘긴 뒤 다시 7개월 만인 지난해 8월 9억원을 넘어섰고, 그로부터 5개월 뒤인 지난달 10억원을 돌파했다.
5분위 주택값은 1년 전과 비교하면 28.6%(2억2847만원) 올랐고, 2년 전보다는 37.8%(2억8200만원) 뛰었다. 전국에서 주택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의 경우 두 달 전인 지난해 12월 5분위 주택 평균 가격이 20억원을 넘어섰다.
고가 주택값이 크게 오른 사이 저가 주택값은 미미한 수준으로 올랐다. 지난달 전국 주택 1분위 평균 가격은 1억1866만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하면 5.8%(650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2018년 초강력 규제 정책으로 꼽히는 9·13 대책의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2019년 전국의 3·4·5분위 주택 가격은 0∼6% 수준으로 오름폭이 줄고, 1·2분위 주택값은 오히려 2∼3% 내려갔다.
이런 영향으로 지난달 전국 주택의 5분위 배율은 8.7로, KB 통계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5분위 배율은 주택 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 가격)을 하위 20% 평균(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으로, 배율이 높을수록 가격 격차가 심하다는 것을 뜻한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