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중 18세 이하는 9%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유아와 초등학생인 12세 이하 연령층에선 학교 등 교육시설과 관련한 전파보다는 가족 내 전파를 통한 감염 사례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3월 새학기 등교수업 확대에 힘이 실리게 된 셈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해 1월 20일부터 올해 1월 24일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 7만5084명 가운데 만 18세 이하는 6718명으로 전체의 8.9%를 차지했다고 2일 밝혔다.
인구 10만명당 발생률은 6세 이하 65명, 7~12세 75명, 13~15세 92명, 16~18세 103명 등으로 파악됐다. 전체 연령 평균인 145명, 19세 이상 158명보다 현격히 낮은 수준이다. 방대본 관계자는 “연령이 낮을수록 인구 10만명당 발생률도 낮고 연령 증가에 따라 발생률이 높아졌다”며 “특히 6세 이하와 7∼12세 연령의 발생률은 전체 연령 평균의 50% 수준으로 낮았다”고 설명했다.
감염 경로를 살펴보면 영유아인 6세 이하에서는 가족 및 지인 접촉을 통한 감염 사례가 36.2%였다. 초등학생인 7∼12세는 그 비율이 37.9%였다. 반면 중·고등학생에 해당하는 13∼15세, 16∼18세는 가족·지인 접촉을 통해 감염된 사례 비율이 각각 26.6%, 21%로 낮아졌다. 이 연령대에서는 집단발생으로 인한 감염 사례 비율이 각각 32.2%, 29.3%였다. 특히 학교 및 학원, 교습시설에서 감염된 비율을 뜻하는 ‘학원 등 교육시설’ 사례 비율은 7∼12세는 5.8%에 불과했다. 13∼15세는 10%, 16∼18세는 10.8% 수준이었다.
학령기 연령의 코로나19 감염력이 낮은 것은 세계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중 어린이와 청소년의 인구 비율은 29%이지만 코로나19 환자 중에서의 발생분율은 8% 내외 수준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추진 중인 등교수업 확대 방안이 더 힘을 받게 됐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달 29일 ‘2021년 학사 및 교육과정 운영 지원방안’을 통해 올해 학사 일정은 개학 연기 없이 3월에 정상 시작하고,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2학년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까지 신학기에 매일 등교할 수 있도록 했다. 교육부는 당시에도 등교수업 확대 이유 중 하나로 10세 미만의 코로나19 발병률이 낮았다고 설명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