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인 하리수가 위안부를 성매매라고 표현한 하버드대 교수를 비판했다.
하리수는 2일 인스타그램에 ‘하버드대 교수, 위안부는 일본군 성 노예가 아니라 성매매였다’는 기사 제목이 적힌 사진을 올렸다.
이 기사에 따르면, 존 마크 램지어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는 오는 3월 발행 예정인 ‘인터내셔널 리뷰 오브 로 앤드 이코노믹스’ 제65권에 실린 자신의 논문 ‘태평양전쟁 당시 성 계약’에서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 위안부는 모두 공인된 매춘부이며 일본에 의해 납치돼 매춘을 강요받은 ‘성노예’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하리수는 “세상은 넓고 생각의 자유와 표현의 자유는 존재한다고 한다. 그러나 그 자유에는 분명히 결과를 책임져야만 하는 것이 인간”이라며 “사회적으로 세계적으로 성공하고 유명한 대학의 교수이면 뭐하냐. 써놓은 논문이 토한 토사물보다 냄새나고 배 아파서 며칠 만에 간 화장실에서 싼 똥냄새보다 더럽다”라고 분노했다.
이어 “사람은 죽으면 이름을 남기고 업적을 남겨야 하거늘 사람이길 포기한 이 병균들은 바이러스를 남기는구나. 그것도 다른 사람들 마음에 더럽게 자리 잡아 오해와 추측과 때론 폭력을 만들어내고 증오를 일으키겠지. 악마 같은 것들”이라고 했다.
하리수는 그러면서 “인생을 더럽게 살아왔으면 떠날 때만이라도 깨끗하게 좀 살다 갈 일이지. 역시 학벌은 중요하지 않아. 인간이 돼라”라고 일갈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