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상공인들이 2일 정부가 개최한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 개편을 위한 공개토론회’를 비판하며 집회에 나섰다. 이날 집회에 참여한 한 중소상공인은 “이번 토론회에 거리두기로 피해가 가장 컸던 중소상공인들이 참석하지 못했다”며 “우리의 목소리를 귀담아들어달라는 요구를 하고자 집회를 하게 됐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주최한 이번 토론회에선 3차 유행을 거치며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개선 방향을 논의한다. 이 자리에 거리두기로 가장 큰 손해를 입은 중소상공인들은 참석하지 못했다.
토론자 7명 중 박주영 숭실대 벤처중소기업학과 교수와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를 제외한 5명은 전부 방역 전문가다. 실제 이날 토론회에선 손해를 입은 소상공인들에게 국민의 79.8%가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인식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재인 한국코인연습장협회 이사는 “작년 1년 동안 확진자에 대한 통계가 있는 질병관리청이 이를 토대로 집합 금지 및 영업시간 규제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비말전파와 같은 추측에 따라 규제를 하고 있다. 종교시설, 병원, 요양병원, 지인들 간의 모임을 통한 확진자 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중소상공인들의 영업시간 규제만 이어가고 있으니 방역 수칙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현규 기자 froste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