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 전 사무차장 “원전, 南北 독자 논의로 지을 수 없어”

입력 2021-02-02 09:03 수정 2021-02-02 09:28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북한 원전 건설 문건' 관련 자료를 공개했다. 산업부가 '북한 원전 건설 추진 논란'과 관련해 "아이디어 차원에서 검토한 검토 자료"라고 해명했음에도 정치권을 중심으로 논란이 계속되자 원문을 전격 공개한 것이다. 사진은 이날 산업부가 공개한 6쪽짜리 문건. 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가 북한에 원전 건설을 추진하는 내용의 보고서를 작성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국제원자력기구(IAEA) 출신 전문가는 남북한 독자 논의로 북한에 원전을 지을 수 없다고 못박았다.

IAEA 사무차장을 지낸 올리 하이노넨 미국 스팀슨센터 특별연구원은 “원자력발전소는 남북한이 독자적으로 논의해서 지을 수 있는 종류의 시설이 아니다”고 언급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2일 전했다.

하이노넨 연구원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에 복귀하지 않으면 북한 땅에 원자로를 지을 수 없다는 사실”이라며 이는 “핵 수출 통제 체제의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에 원전을 지으려면 미국 등 라이선스를 보유한 국가의 허가를 얻어야 하는 것은 물론 북한의 NPT 재가입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하이노넨 연구원은 “원전을 지어준다 해도 북한 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망 구축에 비용이 추가로 들어간다”며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가 그런 계획을 하고 있던 20∼30년 전 금액으로도 5억 달러에 달했으니 지금은 훨씬 많은 돈이 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특히 비무장지대(DMZ)에 원전을 건설하는 방안이 산자부 보고서에 포함된 데 대해 “접경지 인근에 원전을 건설한 상태에서 남북 관계가 악화할 경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이 원전을 군사적으로 전용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재로선) 원전 건설 계획이 얼마나 현실성 있는지 밝히는 게 중요하다”며 “(한국 정부가) 무엇을 논의했고 어떤 계획을 이행하려 했는지 밝혀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