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수신료 올려 北에?” 20억 ‘평양지국’ 개설 추진

입력 2021-02-02 07:38 수정 2021-02-02 09:57
서울 여의도 KBS본사. 연합뉴스

수신료 인상을 추진 중인 KBS가 20억원가량의 예산을 들여 북한 평양에 지국을 개설하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1일 알려졌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민의힘 박대출 의원실이 이날 확보한 KBS의 ‘2021년 1월 텔레비전 방송 수신료 조정(案)’에 따르면 KBS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공적 책무’를 수행할 중장기 계획안을 내놓았는데 이 가운데 ‘평양지국 개설 추진’ 등 북한 관련 사업이 다수 포함됐다.

평양지국 개설 추진에 대해서는 ‘북한 관련 부정확한 보도로 인해 사회적 혼란이 야기된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사실 보도를 위해 평양지국 개설이 필요하다’는 이유를 들었다. 또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라는 메시지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극적이고 상징적인 조치’라는 문구도 포함됐다.

KBS는 평양지국 개설 추진과 함께 다양한 북한 관련 사업 계획도 수립했다. 방송법상에 KBS가 ‘통일방송 주관방송사’임을 명시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 용역을 맡기고 학술회의를 개최하는 사업 예산안으로 28억2000만원을 따로 책정했다.

2032년 하계올림픽 남북 공동 유치를 위해 ‘남북 청소년 스포츠 교류대회’를 개최하겠다는 계획을 비롯해 6·15 남북공동선언과 8·15광복절을 기념하는 ‘평양 열린음악회’와 ‘평양 노래자랑’을 개최한다는 방안도 포함됐다.

북한 관련 취재 보도 시스템 강화 방안을 위해선 26억6000만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세부적인 내용으로 북·중 접경지역에 순회특파원을 정례 파견하고 새터민 출신 전문기자를 채용하는 등의 실행 방안이 담겼다.

해당 문건에서 KBS는 현재 물가 수준을 반영한 적정 수신료는 9500원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41년째 수신료가 2500원으로 동결된 상태임을 감안해 3840원으로 상정했다고 덧붙였다.

박대출 의원은 “현 정권과 여당의 친북 코드에 맞춰 KBS가 수신료 조정안을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원전에 공영방송까지 ‘북한 퍼주기’의 판도라 상자가 열리고 있다. KBS가 수신료를 올려 평양지국을 만든다면 국민이 용납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KBS 측은 “구체적인 개별 사업의 채택 및 예산 편성 여부 등은 향후 이사회 논의 과정을 거쳐 최종 결정된다”면서 “해당 사업 계획은 남북 관계 개선 등이 전제조건이며 KBS가 독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고 밝혔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