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1일 북한 원전 건설 관련 “통일부 차원의 논의는 없었다”고 재차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반도 신경제 구상 총괄부서로서 통일부 차원에서 ‘북한에 원전을 지어주겠다’ 이런 것과 관련한 논의가 된 바 없다”며 “제가 보고받고 또 확인한 바로는 신경제구상 내용 중 원전의 ‘원’자도 없는 것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2018년 4·27 남북정상회담 당시 청와대가 USB에 담아 북한에 전달한 신경제구상에는 원전 관련 내용이 전혀 없었다는 점을 재확인한 것이다.
다만 이 장관은 “정상회담 관련 어떤 절차나 내용은 외교적인 관례나 국익 차원에서 공개하지 않았던 점을 존중해 달라”며 신경제구상 관련 구체적인 내용은 확인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앞서 이 장관은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남북 관계와 한반도 전체 신경제구상과 관련한 논의를 총괄하는 통일부 차원에서 어떤 경우에도 북한에 원전을 지어준다는 논의를 한 적이 없다고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말했었다.
이 장관은 이번 사건 관련 야당의 의혹 제기가 ‘선거용’일 수도 있다고 평가했다. 4월 보궐선거가 임박하면서 ‘북풍 공작’이 재현됐다는 것이다.
이 장관은 “장관이 아닌 정치인의 입장에서 보면 (야당이) ‘선거 때문에 저러나’ 하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다”며 “실제로 선거가 있을 때마다 북풍이나 좌파·좌익 등 표현을 쓰며 야당에서 공세를 강화했기 때문에 정략적인 측면도 다분해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 장관은 올해 남북 관계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유지했다.
이 장관은 제8차 노동당 대회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천명한 ‘3년 전 봄날’ ‘평화와 번영의 새 출발’ 등 표현을 거론하며 “표현은 강경했지만 대화의 의지를 상당히 엿보게 하는 표현”이라고 분석했다. 3월 한·미 연합 군사훈련 실시 여부를 놓고 남북 관계가 시험대에 오를 것이라는 관측에는 그는 “실질적으로 기동훈련이 가능하냐에서부터 충분히 현실적으로 검토할 일들이 많을 것”이라며 “그렇게 될 때 시뮬레이션 정도에서 훈련을 할 수 있는 거냐를 포함해 여러 가지가 검토될 거라고 생각한다. 좀 더 인내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