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찬 “靑, 김정은에게 줬던 USB 공개 검토할 것”

입력 2021-02-01 10:32 수정 2021-02-01 10:46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시절 윤영찬 의원. 뉴시스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을 지낸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북한 원전’ 관련 의혹에 대해 “면밀한 검토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청와대가) 필요하다면 (북한에 건넨 USB를)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1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국제적인 상식과 우리 한반도의 원전 지원이라는 문제의 역사만 살펴봐도 이런 일들이 가능하지 않다는 건 충분히 알 수 있다. 이런 사안 자체에 대해 너무나 황당하고 터무니없는 주장을 하는 이유가 뭔지 오히려 궁금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2018년 4월 27일 1차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USB를 전달한 것을 두고 “당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기자들에게도 다 브리핑했던 내용”이라며 “회담 과정에서 전달한 걸로 알고 있다. 조한기 당시 부속실장이 이야기한 부분은 ‘도보다리에서 전달한 바가 없다’는 얘기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USB에 담긴 내용도) 언론에 보도된 바 있다. 한반도 신경제 구상이 담겨 있고 북한이 핵을 포기했을 때 우리가 어떤 식의 경제적인 발전 구상을 준비하고 있다는 부분들이 들어 있었던 것”이라며 “그중 하나로 에너지 협력 부분이 들어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안에도 원전이라는 부분은 없다”고 강조했다.

또 “원전은 플루토늄 추출 가능성이라든지 국제적인 핵 비확산 규범에 따라서 국제적인 합의가 있지 않고서는 남북 간 합의해서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며 “지금은 대북 유엔 제재가 초고강도로 진행되고 있다. 노트북을 하나 북한에 반입하려고 해도 승인받아야 한다. 그런 상황에서 5조원이 넘는 원전, 10년 이상 걸리는 원전을 우리가 비밀리에 짓는다는 건 난센스고 황당한 주장”이라고 말했다.

윤 의원은 산업통상자원부가 검토했다는 관련 문서에 대해서는 “(문서 작성 시기인) 2018년 5월은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직후이고 그 다음 달인 6월에는 싱가포르 북·미 회담이 열렸다. 산업부로서는 당연히 북한의 핵 포기를 전제로 남북 간 또는 북·미 간 경제협력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에너지 협력 차원의 여러 가지를 검토했을 것”이라며 “게다가 대북 경수로 지원사업이 이미 1994년에 있었기 때문에 이전에 있었던 사안을 검토하는 건 너무나 자연스러운 과정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1994년 북·미 제네바 합의가 이뤄졌던 시절이 국민의힘 전신인 민자당 때 아니냐. 김영삼정부에서 그 합의가 이뤄졌고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라는 기구를 만들어 북한에 1000㎿급 경수로 2기를 건설키로 합의를 했다”며 “그때 우리가 실제로 케도(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에 가입해 공사비로 투입한 비용만 1조5000억원이다. 국민의힘 논리대로라면 이게 이적행위”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의혹이) 선거와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다고 생각한다.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보궐선거가 있는데 후보들 간 비방전과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문제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최근에 떨어졌다”며 “사실을 모를 리 없는 국민의힘에서 이걸 침소봉대하고 북풍을 선거전에 활용하려고 하는 명백한 의도가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