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준 고양시장, 서울시장 예비후보자에게 ‘상생대책’ 촉구

입력 2021-01-31 10:33
이재준 고양시장. 고양시 제공

“서울시민의 쾌적한 주거를 위해 고양시민이 언제까지 희생양이 돼야 하는가”

이재준 경기 고양시장이 31일 개발의 편익은 서울시민이 취하고 고통은 인근 경기도 시·군 주민이 떠안는 서울시의 독단적인 도시계획을 비판하며, 예비 서울시장 후보들에게 상생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최근 서울시장 선거 후보자들이 적게는 16만에서 많게는 120만가구까지 주택공급 계획을 발표하고 있지만, 정작 주택공급에 필수적인 기피시설 대책이 없어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서울시는 그동안 많은 기피시설을 경기도에 설치했다.

특히 고양시의 경우 벽제화장장·서울시립묘지 등의 장사시설과 난지물재생센터·음식물폐기물 처리시설까지 경기도 31개 시·군 중 서울시의 기피시설이 가장 많이 위치해있어 그 피해가 막심하다.

이에 이 시장은 “고양시는 서울과 인접한 땅 4000만평이 그린벨트로 묶여 고양시민들의 사유재산권을 침해당했고, 서울 집값 안정화를 위해 베드타운이 되어왔다”고 성토하며 “서울시 기피시설 신설은 물론 증설도 더 불가하다. 필요한 시설은 서울시 자체적으로 해결하라”고 성토했다.

이 시장은 서울시장에 나선 예비 후보자들에게 ▲서울시립승화원 교통대책 마련과 묘지 신설 제한 촉구 ▲난지물재생센터의 조속한 현대화와 음식물처리시설 재가동 불가 ▲수색차량기지 상생방안 수립 등을 촉구했다.

1970년 고양시에 설치된 서울시립승화원에는 총 23기의 화장로가 있다. 이는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서울추모공원 화장로 11기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숫자다. 이로 인해 서울시립승화원에서는 두 배나 많은 화장 수요를 감당해 왔다.

수시로 몰려드는 방문객들로 인근 도로는 몸살을 앓고 있지만, 정작 서울시는 교통대책조차 마련하지 않은 채 손을 놓고 있다. 고양시는 서울시민들의 이용량이 큰 승화원 입구부터 통일로 진출입로까지 서울시가 적극적으로서 교통대책을 마련해줄 것과 그동안 논의해 왔던 승화원의 지하화와 지상 공원화에 대한 추진 계획을 밝힐 것을 촉구했다.

고양시에 위치한 난지물재생센터는 자유로를 잠깐 오가는 차 안에서도 분뇨 냄새가 날 정도로 인근 주민들이 악취에 시달리고 있다.

서울시는 2025년까지 분뇨처리시설 지하화, 2028년까지 수처리시설 복개공원화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지만, 난지물재생센터 인근 덕은지구가 2022년까지 대부분 입주를 마치기 때문에 빠른 해결이 시급하다.

게다가 서울시 서대문구는 난지물재생센터 내 음식물처리시설 재가동까지 계획하고 있어 주민과 마찰을 빚고 있고, 고양시 또한 “협의 없이 난지물재생센터 내 음식물처리시설 재가동은 절대 안된다”는 입장이다.

마지막으로 이 시장은 “서울시가 계획하는 수색역세권 복합개발이 편익은 서울시민이 누리고, 기피시설은 고양시민이 떠안게 되는 대표적 도시계획”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시는 서울시민을 위한 ‘수색역세권 복합계획’을 발표하면서 소음이나 미관 등의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기피시설인 수색차량기지를 고양시로 이전하겠다는 방침을 밝혀 고양시민들의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특히 이전 대상지 주변은 주거지역으로, 소음과 진동은 물론 많은 유동인구로 교통정체가 발생하는 까닭에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 역시 수색차량기지 이전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이 시장은 “서울시는 국토교통부와 철도공단에 책임을 미루며 협상 테이블에 서는 것을 피하고 있는 상태”라며 “향동·현천역 신설 등 6가지 철도 현안사항과 고양선 서부선 직결, 제2자유로 버스전용차로 등 고양시 문제 해결에 적극 협조하지 않고서는 수색차량기지 이전 등의 복합화 개발은 절대 불가하다”고 못을 박았다.

이어 이 시장은 “서울시는 이 같은 지방도시의 고충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며 “서울시 정책은 이제 더 이상 서울시만의 것이 아니고, 누가 당선되든 서울시로 인한 피해를 함께 해결할 책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