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일제 강점기 자주와 독립을 지키며, 민족공동체를 근대 국가로 성장케 한 독립운동사 재조명을 핵심으로 하는 근현대사 교육을 강화키로 했다.
이러한 근현대사 교육은 학교와 지역 중심으로 주변 자료를 활용한다.
경기도교육청은 28일 이러한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향후 3년 간의 근현대사 교육 강화 계획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학교가 근현대 역사가 오롯이 남아있는 자료관이며, 학생들이 역사를 ‘나의 이야기’로 인식할 수 있다는 측면에 주목했다.
특히, 학교 일제 잔재 청산 프로젝트는 토론, 발굴, 표기, 청산 활동이라는 4가지 활동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이 과정에는 교육공동체와 지역사회가 함께 민주적 절차를 거치고, 최종 합의를 통해 청산과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역사교육이 학생의 지식 전달을 넘어서서 교직원, 졸업생, 지역민 모두가 참여하는 시민교육으로 연결됨으로써 일제 잔재 청산 결과보다 과정 자체가 역사적 실천이 되도록 한다는 데 방점이 있다.
도교육청은 지금까지 이어온 학생 탐구 활동 중심 역사교육 기조는 지속한다며 소속 학교 역사와 자료를 근현대사 탐구와 일제 잔재 청산 자료로 활용해 역사가 ‘지금, 여기, 오늘의 이야기’가 되는 데 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교육공동체와 지역사회가 함께 민주적 토론 과정을 거쳐 일제 잔재를 청산한 사례로는 경기대명초, 정남초, 양동초가 교표를 교체했다.
또 공도중, 삼일공고가 교가를 바꾸었고 율곡중, 율곡고, 경기세무고교는 재편곡을 통해 새로운 교가를 부르고 있다.
이혁희 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평화교육협력담당 서기관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학생 세대의 역사적 실천이 중요하다”면서 “교과서 안에 담긴 지식이 아니라 학생이 스스로 역사를 기억하고 어떻게 사회적 변화로 확산해 갈 것인지를 찾는 역사교육으로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