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 코로나19 3차 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여파로 식당·숙박업 노동자 약 23만명이 감소했다. 공연·예술 분야에서도 약 7만명 일자리가 증발했다. 통계상 이런 위기는 전례가 없었다. 정부는 적어도 다음 달까지 최악의 고용 충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28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사업체 노동력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사업체 종사자 수는 1835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33만4000명(1.8%) 줄었다. 코로나19 고용 충격이 본격화한 지난해 4월(36만5000명) 이후 감소 폭이 가장 컸다. 300인 미만 사업장은 2.3% 감소했지만 300인 이상 사업장은 0.9% 증가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대면서비스 업종이 전례 없는 위기를 맞았다. 숙박·음식점업은 22만6000명(17.5%), 예술·스포츠업은 6만9000명(21.2%)이 감소했다. 숙박·음식점업은 코로나19가 확산한 3~4월보다도 감소 폭이 6만명 가량 더 컸다. 또 채용은 3만5000명이나 줄었다. 세계 금융위기 때도 이 정도 타격은 아니었다. 경제 허리인 제조업에서는 7만4000명 줄어 11개월째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김영중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숙박·음식점업과 예술·스포츠업 취업자 수는 2009년 통계 이래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며 “이 노동자들에 대한 생계안정지원금과 고용유지지원금 등을 신속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 1분기에는 공공일자리 85만개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공공일자리 효과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작년 12월 공공행정 분야의 종사자는 79만6000명으로 전월 97만9000명보다 18만3000명(18.4%) 급감했다. 3·4차 추가경정예산으로 지난해 7월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공공일자리 계약이 연말에 대부분 만료된 결과다. 실제 공공일자리 계약종료와 해고 등으로 일을 그만둔 비(非)자발적 이직은 23만6000명(48.0%) 증가했다. 전월보다 30%포인트 이상 늘어난 수치다.
극심한 고용 위기는 당분간 지속할 전망이다. 정부도 공공일자리·지원금 대책을 반복하는 것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는 모양새다. 김 실장은 “다음 달까지 고용 상황이 많이 안 좋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코로나19 3차 확산 이후 경제활동이 제약을 받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한나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구조적 위기와 산업구조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장기 인력대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