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욱 국방부 장관은 북한이 중단을 촉구한 한·미 연합훈련과 관련해 “전반기 시행한다는 생각으로 준비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서 장관은 실제 병력이 움직이는 훈련이 아닌 점을 강조하면서 연합훈련을 “북한과 협의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서 장관은 지난 27일 신년 국방부 출입기자간담회에서 “전반기 시행하는 한·미 연합지휘소훈련(CCPT)은 실병 기동훈련이 아니다”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하는 방어적이고 연례적인 연습을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훈련을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연합사와 긴밀하게 협의해 조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 장관은 북한이 남북 군사공동위원회에 호응한다는 전제하에 연합훈련 시행 여부를 북한과 “협의할 수 있다”며 대화의 여지를 남겼다. 한·미 연합훈련은 3월로 예정돼있다.
서 장관은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부터 남북군사공동위를 구성하면 연합훈련을 포함해 여러 가지를 논의할 수 있게 돼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협의할 수 있다는 원칙적인 이야기를 한 것으로 저 역시 협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합훈련 중단 요구에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8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북한과도 협의할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서 장관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추진과 관련해 “재임 기간 중 진전된 성과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의지를 보였다. 서 장관은 지난해 코로나19 확산 등을 이유로 연기된 미래연합사의 완전작전능력(FOC) 검증에 대해 “우리는 이른 시일 내에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갖고 있고 미군은 FOC를 조건을 갖춰서 하면 어떨까 하는 미세한 차이가 있는데 이 역시 협의를 해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서 장관은 최근 북한이 두 차례 열병식 등을 통해 공개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단거리 지대지 탄도미사일 등을 거론하며 “시험발사까지 마친 북한의 신형 단거리 미사일 등은 충분히 탐지·요격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서 장관은 “한·미동맹 차원의 맞춤형 억제전략,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 전략적 타격체계를 보완해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서 장관은 제8차 노동당 대회 이후 북한 동향에 대해 “임박한 특별한 징후는 없다”고 말했다.
서 장관은 다음달부터 시작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등과 관련해 “장병들의 백신 접종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군 내 의료 인력이 가장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공동취재단·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